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뿌남 쟌두’는 “오늘 수업에 참여하려고 1시간을 걸어 학교에 왔다”며 “실험수업은 처음이라 정말 재미 있었다”고 말했답니다.동아사이언스 기자들의 이 활동은 7월 20일까지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1여행 1드림 프로젝트’로, 한 번 여행을 떠날 때마다 한 번의 ... ...
- [핫이슈] 내가 진짜 최강! 드론 레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각하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마음가짐의 소유자이기도 하지요.현성 친구는 3년 전 처음으로 드론을 알고 매력에 흠뻑 빠졌어요. 용돈을 모아 하나씩 마련한 드론이 벌써 4개나 된다고 해요. 이번 대회를 통해 5번째 드론을 장만했답니다. 현성 친구는 “이번 대회에서 만든 드론은 직접 조립하고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Ceres)’에 한글 지명이 붙은 것으로 확인됐다. 왜행성의 지명이 한글로 명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8월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세레스에서 발견된 크레이터 13개의 지명을 공식 승인했다”고 밝혔다. 13개에는 ‘자청비(Jacheongbi)’가 포함됐다. 자청비는 하늘에서 오곡 씨앗을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술 콘퍼런스 ‘이그나이트 2017’에서 양자컴퓨터에 적용할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공개했다. 그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양자컴퓨터 양쪽에서 모두 작동하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주얼 스튜디오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작동하는 통합 개발 환경으로,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 실험실의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생체시계 유전자 중 하나인 ‘클락(clock )’을 처음으로 발견한, 필자의 박사후연구원 지도교수였던 라비 알라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로스배시 교수에 대해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때로 엉뚱하고 말도 안 되는 모델을 세우고, 많은 경우, 어쩌면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질 개발’을 꼽았다.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크고 무거워서 충전시 전극 물질을 처음 상태로 되돌리기가 더 어렵다. 연구팀은 이 분야의 핵심 논문 4편이 나트륨 이온 전지의 차세대 전극 물질에 대한 연구라고 밝혔다. 생리의학상 : 면역학 연구에 거는 기대생리의학 분야에서는 ‘T세포의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데 최종 합의를 봤다. 플랑크 상수에 대해 전세계 기관의 합의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단위자문위원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올렸다. 내년 6월 CIPM에서 한 번 더 검토를 마치면 2018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 플랑크 상수값을 확정할 것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앞으로 이 논문이 엄격한 검증을 거쳐 옳다고 판명 된다면, 기존 미해결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한 논문으로 남을 겁니다. 그렇다면 5500을 어디까지 줄일 수 있을까요? 저 또한 매우 궁금한데요, 이제 이런 알고리듬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으니 상수를 낮추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겁니다. 5500배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내시가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했습니다. 존 내시는 헥스를 개발했을 뿐 아니라 헥스에서 처음 말을 두는 사람이 반드시 이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고, 헥스는 절대 비기는 경우가 없다는 ‘헥스 정리’를 증명하기도 했습니다. 헥스 정리에 따르면 굳이 양 끝 정육각형을 이어서 이기려 하지 않고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북한의 도발에 한미 양국은 9월 5일 한국의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1979년 처음으로 미사일지침을 체결한 이후 38년 만이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미사일 탄두중량은 500kg, 사거리는 800km로 제한돼 있었다. 사거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