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북한의 도발에 한미 양국은 9월 5일 한국의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1979년 처음으로 미사일지침을 체결한 이후 38년 만이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미사일 탄두중량은 500kg, 사거리는 800km로 제한돼 있었다. 사거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이 유전자들을 이미 분화한 피부세포에 넣어 발현시켰습니다. 처음에는 24개의 유전자를 모두 발현시켜보고, 그 이후에는 유전자를 하나씩 빼면서 가장 적합한 조합을 찾아냈습니다. 결국 유전자 4개(Oct3/4, Sox2, c-Myc,Klf4)를 발현시키면 체세포들의 발달 잠재력이 회복돼 여러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일은 없어요. 게일의 아이디어는 이렇습니다. 처음에 (m, n) 조각을 선택해서 지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m, n) 조각 대신 상대가 택한 (i, j) 조각을 선택해버리는 겁니다. 그러면 순서가 하나씩 밀려 내가 먹은 조각이 상대가 먹은 것이 되고, 상대가 먹은 조각은 내가 먹은 조각이 돼서 독이 든 조각도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통과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빛의 통과가 중요한 눈에는 혈관이 없는 부위가 많다. 맨 처음 빛을 받아들이는 각막, 빛을 모으는 오목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 그 빛이 하나의 초점으로 모여 상이 맺히는 황반에는 혈관이 없다. 특히 황반은 망막 중에서도 시세포가 가장 많이 밀집돼 있어 상을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전자가 ‘이기적’인지 살펴보자. 인간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이기적 유전자’를 처음 읽은 뒤 평정심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동요하고 경탄하는 한편 좌절하거나 불쾌하고 더 나아가 분노하게 된다. 실제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를 읽은 독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소개했다. 어떤 사람은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숙련된 닌자는 적이 보이면 적절한 순간에 본능적으로 수리검을 던질 수 있어. 하지만 처음부터 잘했던 건 아니야. 수리검을 적에게 정확히 던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배워야 했지. 닌자의 주특기, 침투와 정찰! 도구가 필요 없는 기술도 알려줄게. 혹시 우리 닌자들이 벽을 타고 위로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그 중에는 길이가 32km를 넘는 바다도 발견됐다. 지구 밖 천체에서 바다가 발견된 건 처음이었다. 훗날 과학자들은 카시니가 레이더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바다가 메탄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과학자들은 이 바다가 대기에 메탄을 공급하고, 이것이 다시 비로 내려 표면의 얼음이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국제학술지 ‘피부외과학’ 2005년 7월호에 실린 인터뷰에서 “화장품과 약에 대해 처음 법적인 정의를 내린 1938년에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거의 없었다”며 “그동안 피부를 변화시키는 수많은 물질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새로운 범주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1938년 당시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가령 공기보다 무거운 비행기가 공중에 뜰 수 있다는 발상이 처음에는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지금은 모두가 양력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다. 과학철학자인 토마스 쿤은 고정관념 때문에 결코 바꾸기 어려운 이런 사고의 전환을 ‘패러다임(paradigm) 전환’이라고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정치국제관계학과 교수가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80년대 후반 빅 히스토리 개념을 처음 만든 창시자다. 빅 히스토리는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