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믿었어요. 그래서 흰색 털을 가진 몰티즈만 골라 선택적으로 교배시켰지요. 그 결과
현재
몰티즈는 흰색 털만 가진 품종이 되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강아지 번식공장 OUT I♥반려견Part1. 반려견 늘고, 유기견도 늘고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늑대, 개가 되다!학계에서는 아주 오래전 야생늑대가 개로 진화했다고 보고 있어요.
현재
늑대와 개의 DNA가 99% 일치하고, 종은 다르지만 늑대와 개가 서로 교배를 해 새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야생늑대는 어떻게 지금의 개가 되었을까요?늑대의 일부가 개로 분리된 것은 약 8만~13만 년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오징어처럼 생긴 몸속에 화살촉처럼 생긴 길고 뾰족한 뼈를 가지고 있었답니다.
현재
바다에 사는 대부분의 두족류는 아주 작은 뼈가 있거나 아예 뼈가 없어요. 포식자를 피해 빠르게 도망갈 수 있도록 딱딱하고 무거운 껍질이 사라지는 방향으로 진화한 거죠. 또한 노틸로이드가 11m, 벨렘나이트가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여기에 그림의 수를 더 많이 늘려 움직임을 훨씬 자연스럽게 만들었지요. 이러한 방법은
현재
우리가 보는 애니메이션이나 영화가 만들어지는 기본 원리가 되었답니다.잔상 효과는 물체가 사라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따라서 그림 여러개가 빠르게 회전하면서도 사진이 보이지 않거나 그림과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교통수단에 비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최대 20배나 많답니다.하지만 비행기는
현재
먼 곳을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가장 유용한 교통수단이에요. 따라서 과학자들은 비행기의 연료를 적게 쓰면서도 멀리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상어를 닮은 날개의 비밀새롭게 만들어진 A320의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만들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통신장비’를 꼽고 있어요.
현재
우주선의 통신장비는 대부분 ‘전파’를 이용해요. 그런데 전파는 넓게 퍼지며 약해지는 성질이 있어서 전파를 멀리 보내기 위해선 전파를 모아 줄 커다란 접시 모양의 안테나가 필요하지요. 통신의 거리가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아이들도 자신들의 용돈을 내놓았습니다.당시 국채에 해당하는 금액 1300만 원이 2016년
현재
가치로 얼마일지 구하는 것이 아홉 번째 미션입니다. 위 논설문과 현장에 있는 QR코드의 조건을 참고해 당시의 물가를 지금의 물가와 비교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열 번째 미션, 대구의 정기! 천 보(步)를 ... ...
[과학뉴스]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처음 소개됐다(이후 유명해져 4년 뒤 책으로도 출판됐다).1976년 창간된 국제 안보는
현재
국제 관계 분야 학술지 85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학술지로 꼽힌다.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임팩트팩터(IF)는 2014년 기준으로 4.455다. 미국 하버드대 벨퍼과학국제문제연구소(BCSIA)가 편집하고 미국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의 수는 약 1조에 이른다.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홍보하고 있다.문제는 이런 백두산 광천수 사업이 난개발 양상을 보인다는 것.
현재
까지 개발한 수원지만 130곳이 넘고, 여기서 한해 평균 150만t의 광천수를 생산해내고 있다. 2010년 생산량이 30만t이었는데 6년 만에 5배 가량 늘었다. 최근엔 1500만t 규모의 광천수 생산시설도 준공됐다. 물은 압력을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