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돼요. 따라서 알파 센타우리는 무려 40조km가 넘는 거리에 있는 거죠. 이는 보이저 1호가 현재 속도로 앞으로 8만 년을 더 가야 하는 아주 먼 거리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아이들도 자신들의 용돈을 내놓았습니다.당시 국채에 해당하는 금액 1300만 원이 2016년 현재 가치로 얼마일지 구하는 것이 아홉 번째 미션입니다. 위 논설문과 현장에 있는 QR코드의 조건을 참고해 당시의 물가를 지금의 물가와 비교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열 번째 미션, 대구의 정기! 천 보(步)를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Part 4. 인터뷰 참조).이와 같은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백두산 시추 계획은 현재 진행형이다. 이윤수 책임연구원은 중국, 영국, 일본, 미국의 대표 화산학자들과 공동으로 국제대륙과학시추프로그램(ICDP)에 올해 백두산 시추 제안서를 냈다. 프로젝트 이름은 ‘엄마(Ultra Deep Monitoring for Magma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못 했다).프렙의 HIV 감염 예방 효과가 입증되면서 전세계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케냐, 페루, 남아공 등이 트루바다를 프렙 제제로 허가했다. 올해 8월 유럽연합(EU)도 장시간에 걸친 마라톤 회의 끝에 트루바다를 승인했다. 한국도 준비가 한창이다. 대한에이즈학회 ...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기관지, 폐포 등은 큰 단위로 보나, 작은 단위로 보나 각각 프랙탈을 띠고 있다. 현재 의학에서는 문진으로 기관을 관찰하거나 CT 촬영으로 폐포를 관찰하는 수준이다. 프랙탈을 활용하면 모든 단계에서 폐를 정밀히 진단할 수 있다.세기관지 : 지름이 1mm 이하인 작은 기관지.세포수많은 세포가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UNIST에서 처음으로 투자할 대상이 바로 김 교수의 마취 기술이다. 김 교수는 “현재 초기(seed) 투자는 거의 완료된 상태고 올해 말부터는 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고용할 예정”이라며 “의료기기 외에 다른 분야의 창업을 이끌 연구도 병행할계획”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 창업 아이템인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만들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통신장비’를 꼽고 있어요.현재 우주선의 통신장비는 대부분 ‘전파’를 이용해요. 그런데 전파는 넓게 퍼지며 약해지는 성질이 있어서 전파를 멀리 보내기 위해선 전파를 모아 줄 커다란 접시 모양의 안테나가 필요하지요. 통신의 거리가 ... ...
- [과학뉴스]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처음 소개됐다(이후 유명해져 4년 뒤 책으로도 출판됐다).1976년 창간된 국제 안보는 현재 국제 관계 분야 학술지 85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학술지로 꼽힌다.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임팩트팩터(IF)는 2014년 기준으로 4.455다. 미국 하버드대 벨퍼과학국제문제연구소(BCSIA)가 편집하고 미국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의 수는 약 1조에 이른다.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 ...
- [과학뉴스] 두 차례 사과가 더 큰 촛불 부른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11월 21일)까지 박근혜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사과 담화문을 두 차례 발표했다. 하지만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촛불을 들고 평화시위를 벌이고 있다. 진정한 사과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리더들은 사과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입지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