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화 전보다 온도 1도 올랐다...IPCC "2030년까지 CO2 45%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약 1도가량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의 ‘전 지구 평균
표면
온도(GMST)’값이 1850년부터 1900사이의 평균 값보다 0.75~0.99도 가량 상승한 것이다. 마손데모트 공동의장은 “2018년까지 최대 1.2도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구온난화가 이 상태로 계속 ... ...
日·獨 "소행성 착륙 탐사로봇 '마스코트' 임무 성공" 공식 선언
2018.10.05
귀환하는 것이 목표이며, 2018년 10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세 번
표면
에 다가가 소행성
표면
및 지하 시료를 채취해 2020년 지구로 돌아올 계획이다. 탄소가 풍부한 ‘C형’ 소행성인 류구의 시료를 확보해 내부의 물과 유기물을 연구함으로써 지구 바다와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 게 목표다. 한편 이번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받은 ‘파지 전시’ 기술에서 비롯됐다. 파지 전시는 바이러스의 일종인 박테리오파지의
표면
에 특정 항원(병원체)이 생기도록 만드는 기술로, 특정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무력화시킬 수 있는 인간 항체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 조유희 차의과학대 교수는 “기존에 쥐에게 항원을 주입해 얻었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큰 획을 그었다.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은 그후 필자도 연구를 해온 세포
표면
발현(cell surface display)기술 등으로 변신하며 ‘유도진화’기술과 더불어 대사공학을 포함한 생명공학 전반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기술을 오랜 기간 활용해 온 필자로서는 감회가 남다르다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만든 파지는 마치 ‘캡슐’처럼 DNA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용기가 되는데, 이 단백질
표면
에 마치 ‘간판’처럼 원하는 항체나 효소를 전시(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후 이 간판만을 알아보는 단백질을 이용해 원하는 성질을 갖는 파지를 골라내면 효율적으로 원하는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교수, 또 그의 제자인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가 주인공이다. 두 분야는
표면
적으로는 서로 직접적인 관련은 적다. 하지만 레이저 분야의 매우 중요한 기술들이기 때문에 세 사람에 대한 노벨상 수여는 광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수긍하고 있다. 올해 96세로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 ... ...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키운 건 액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인해 모래와 자갈 들이 밑으로 가라앉고, 그 사이에 있던 지하수가 위쪽으로 올라와
표면
의 땅을 진흙과 같은 상태로 변화시킨다. 땅이 액상화하면 지반이 늪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건물이나 구조물의 붕괴 위험이 커진다. 지난해 11월 규모 5.4 지진이 발생한 포항 북구는 바다와 가까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21세기 면역학 키워드 '면역항암제' 노벨상까지 받다
2018.10.02
사실들이 추가로 밝혀졌다. 암환자에서 발견되는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표면
에는 두 단백질이 매우 많이 늘어나 있는데 바로 이것이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기능이 현저히 약화되는 이유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발견은 곧바로 신약개발로 이어졌다. CTLA-4나 PD-1이 T세포 기능을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생각은 아무도 하지 않던 시기였다. 혼조 교수는 1992년 면역세포중 하나인 T세포
표면
에 PD-1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약화시켜 암세포가 성장하기 유리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신진 연구자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남들과 다른 관점으로 시작한 그의 연구가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이번 ... ...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때, 일본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1992년 일본 교토대 혼조 타스쿠 교수가 T세포의
표면
에서 PD-1이란 단백질을 발견했다. 그는 처음에 이게 무엇을 하는 단백질인지 잘 몰랐다. 혼조 교수는 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혁신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7년 간의 연구 끝에 그는 PD-1이 T세포의 기능을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