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스페셜
"
안
"(으)로 총 2,968건 검색되었습니다.
꼭꼭 숨은 우리 몸속 돌 찾기!
KISTI
l
2013.12.10
듯한 느낌을 받으며 심할 경우 미각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침이 자주 마르는 사람은 입
안
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고 침 분비가 잘 될 수 있도록 신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위와 장 등 소화기에 생기는 돌은 더러운(?) 경우가 많다. 위석은 머리카락이 뭉쳐서 굳은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 식사가 끝나고 오쿠라는 라이트 일행을 ‘한국식 방’으로
안
내했다. 이 한국식 방의 정체는 바로 1996년 일본으로부터 반환받은, 경복궁 동궁의 자선당(資善堂)이었다. 일제가 경복궁을 훼손하면서 오쿠라가 자선당을 그대로 분해해서 들여오고 나서, 자신의 호텔 경내에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비슷한 이야기인데 다른 점은 호랑이가 먼저 어머니를 잡아먹고(“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집으로 가 막내(아기)까지 잡아먹는다. 간신히 나무 위로 도망친 오누이는 두레박을 타고 하늘에 올라 해와 달이 됐고 호랑이는 수수밭에 떨어져 죽었다. ●‘빨간모자’가 ‘해님달님’의 조상?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20미터 간격으로 1킬로 가까이 늘어선 뒤 천천히 걸어가면서 운석을 찾았다. 이렇게 3일 동
안
사막을 훑은 결과 운석 15개를 찾았다. 다들 너무 작아 다 합쳐도 563그램에 불과했지만, 천체가 알려진 최초의 운석이라는 기념비적인 시료들이다. 수주 뒤 72명이 참여한 두 번째 사냥에서 운석 32개를 더 ... ...
[채널A]수도권 폭설 온다더니…기상청 슈퍼컴퓨터의 실수
채널A
l
2013.11.28
반응입니다. [인터뷰: 양준석/서울 공릉동] 아까 12시에 (우산을) 한 번 쓰고 나서는 눈이
안
오더라구요. 눈이 많이 온다고 했었는데 황당하죠. 기상청은 슈퍼컴퓨터 분석 결과 지상의 기온이 영하 1도에서 0도로 나타나 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로는 영상 3도 정도로 높았던 게 원인이라고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이듬해 10월 4일 생어가 참석한 가운데 개소식이 거행됐다. 당시 인원은 50명이 채
안
됐으나 현재(생어연구소로 개명)는 900명이 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게놈연구소가 됐다.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주도한 곳이 바로 생어연구소다. 노벨상 수상자가 수두룩한 영국이지만 2회 수상자로는 생어가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심한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둘 다 미국 위스콘신대
안
팔멘버그 교수팀의 연구결과로 한 마디로 C형은 기존의 A형이나 B형과는 표면 구조가 많이 다르고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된 리노바이러스 치료제 후보물질 가운데 어느 하나도 증식을 억제하지 못했다는 것. ... ...
[채널A]유발 유전자 20여 개 발견…치매 예측 뇌지도 만든다
채널A
l
2013.11.15
~5배 위험도가 높아지는 걸로 보고가 돼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은 이런 정보를 토대로 3년
안
에 한국인 치매 뇌지도를 만들어 조기 진단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이건호/조선대 의대 치매융합연구소 교수] MRI 촬영과 혈액 검사만으로 간단히 치매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 ...
[웹툰] 문자녀
KOITA
l
2013.11.06
마지막으로 한 가지 3년 동
안
정말 여쭈어 보고 싶은게 있는데... "교수님, 왜 한 달 동
안
문자를 보관하고 계셨던 거예요?" (교수님 사랑합니다^^♡)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5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발표하기도 했다. 참고로 2010년 네
안
데르탈인의 게놈초
안
이 발표됐는데 현생인류에 네
안
데르탈인의 피가 섞여있다는 결과여서 충격을 줬다. 따라서 이번에 로스버그가 ‘프로젝트 아인슈타인’을 기획한 것도 전혀 엉뚱한 일은 아니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도 궁금한 건 못 참아 1997년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