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008년 4월 8일 한국 최초 우주인이 경험할 소유즈 우주선의 발사
순간
을 가상으로 그렸다. 2년 동안 진행된 선발과 훈련 과정을 마치고 탑승우주인으로 최종 선정된 이소연 씨가 보낼 우주에서의 10일은 어떨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제공한 계획표를 참고해 미리 따라가 봤다.“잘 다녀오겠습니다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비밀은 바로 나노기술. 특수센서가 탑재된 강화유리는 물이나 먼지를 인식하는
순간
이들을 양쪽 구석으로 밀어낸다. 와이퍼가 없어지면 차체는 가벼워지고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데다가 시야 확보에도 도움이 되니 ‘일석삼조’다.닛산의 ‘피보(Pivo)2’는 크기를 확 줄였고 엔진룸을 따로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오펜하이머 근사)으로 풀 때 이용하는 포텐셜 전자는 원자핵에 비해 매우 가벼우므로
순간
적으로는 원자핵이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전자상태를 풀고 원자핵의 위치를 파라미터로 하여 전자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 단원자 기체라고도 한다 헬륨 · 네온 · 아르곤 ·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두고 있다.노트북과 휴대전화와 연결해 사용하는 충전기와 어댑터는 대부분 바깥에서
순간
적으로 들어오는 높은 전압과 전류를 차단하는 회로가 들어있다. 또 이들 장치 안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유사한 기능을 하는 차단 회로가 있다.이들 안전장치 덕분인지 실제로 리튬이온전지 사고는 사용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개월간 계속된 가뭄으로 대지는 흙먼지를 날리고 옥수수 잎은 시들다 못해 바짝 타들어가고 있다. 밤이 되자 하늘에는 별들이 쏟아질 듯하다. 밤하늘을 유심히 바라보던 ...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고학자와 재료과학자의 노력으로 마야블루의 천년 신비가 마침내 풀리는
순간
이다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소리 나는 원리를 가르칠 때마다 전공학생에게 악기를 갖고 오라고 부탁했는데, 어느
순간
부터 직접 내 악기를 갖고 음계 정도는 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그렇다고 그의 연주 실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지금은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아마추어 관악 앙상블에서 베이스 클라리넷을 ... ...
도시의 목덜미에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com)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대구 우방랜드에서 경산 방향으로 국지성호우가 내리는
순간
을 포착했다.촬영 당시 대구는 구름이 다소 낀 비교적 맑은 날씨였지만 대구의 남동쪽에 위치한 경산에는 시간당 56mm의 국지성호우가 내렸다. 여름철에 자주 내리는 국지성호우는 일기예측에 불확실성을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못지않은 장관을 선사할 것이다.‘디카’를 들고 밖으로 나가자. 그리고 이 역사적인
순간
을 렌즈에 담아보자. 도심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ISSISS는 1998년 11월 러시아의 자라야 모듈이 지구 궤도를 처음 돌기 시작하면서 우주정거장 임무를 시작했다. 그 뒤 10년 동안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함께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있다. 서로 만나 호흡을 맞추고 그림을 그리다보면 어느
순간
내면의 조화로움이 캔버스 위로 녹아든다. 모딜리아니와 잔의 드로잉에서도 마음의 평화로움이 아름다운 선과 색을 창조해냈다. 그림은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혹시 미술관을 찾는다면 캔버스 위로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성게, 문어, 혹돔처럼 맛있게 먹기만 했던 물고기들이 살아서 헤엄치고 있었어요. 그
순간
수심 7m의 바다가 두렵기보다는 포근하게 안아주는 듯한 느낌이 들었죠. 마치 엄마 품처럼.” 제주도 출신인 고 교수는 어려서부터 바다와 더불어 살았고 자연스레 해양생물을 연구하게 됐다. 하지만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