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바퀴벌레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몸체가 뒤집어지더라도 접혀 있는 날개를 펼쳐서 몸을 똑바로 세울 수 있어요. 또한 책상 위로 점프해서 올라가 스스로 충전도 하지요. 무게가 약 60g인 이 로봇은 150cm 정도 높이를 점프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이 로봇을 ‘점프하는 바퀴벌레(jump roach)’라고 불러요.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생물학과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2009년 일본에서는 6층짜리 나무 아파트로 지진 실험을 진행했어요. 거대한 진동판 위에 아파트를 올려놓고, 실제 지진이 난 것처럼 40초 동안 마구 흔들었지요. 이때 충격은 규모 6.5~7.3의 지진과 같은 세기였어요. 실험 결과 나무 아파트는 벽에 살짝 금만 간 것 말고는 다른 이상이 없었답니다 ...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위 아래로 진동하며 마치 벌레처럼 앞으로 나아가지요.연구팀은 로봇을 이루는 자석 구슬의 개수를 변화시키며 움직임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구슬의 개수를 늘려 로봇의 길이가 늘어나자 이동속도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풍선을 천으로 열심히 문지른 뒤, 역시 천으로 문지른 둥글고 가느다란 비닐을 풍선 위에 얹어 보자. 풍선을 향하는 방향에 맞춰 비닐 끈이 둥실둥실 떠오를 것이다. 비닐이 공중부양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물체를 다른 물체로 문지르면 한쪽 물체 표면의 전자가 떨어져 나와 다른 쪽 물체로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발견됐답니다.새만금사업단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죽은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폐사한 상괭이들의 사체를 부검해 보았어요. 그 결과 죽은 상괭이들은 모두 지방층이 두껍고 근육량이 충분해 비교적 건강한 상태였지요. 뱃속에는 먹이마저 가득 차 있었답니다. 특별한 질병이나 기생충 ...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왼손을 뻗어 앞쪽을 가리켰죠. 팀장님이 가리킨 곳엔 상괭이 두 마리의 검은 등이 수면 위로 살짝 보였답니다. 충남 태안 신진항에서 배를 타고 나간 지 약 1시간만에 발견한 첫 상괭이였지요.“7월 14일 오전 9시 33분, 340도 방향, 2마리! 수온 18℃, 염분농도는….”상괭이를 발견한 곳에서 배가 멈추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중력장 지도를 보면 중력이 센 곳은 붉게, 약한 곳은 푸르게 나타나 있지요. 이렇게 다른 위성이나 행성의 중력장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내부의 구조를 탐사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최근 목성에 도착한 탐사선 주노의 임무 중 하나도 목성을 돌며 중력을 측정하고 중력장 지도를 만드는 거예요. 이를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염소 원자가 구리 원자들 사이를 이동하지요.이때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면 염소 원자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옮길 수 있어요. 미리 약속된 규칙대로 염소 원자를 배열시킨 뒤 이를 해독하면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예요.오뜨 박사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가리기가 힘들었답니다.캠프에 참가한 곽수진 학생(라이노비틀즈팀)은 “도토리거위벌레도 보고 다친 매미도 살려 줬다”며, “새로운 친구와 언니, 오빠들도 사귀고 추억도 많이 만들어서 내년에도 꼭 참가하고 싶다”고 말했어요.김선주 씨(에코마우스 팀 보호자)는 “아들이 자연을 사랑해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힘으로, 비행기가 하늘로 떠오르도록 하거든요. 즉, 공중부양은 어떤 물체나 사람이 땅 위에 떠올라 있는 상태를 나타낼 때 쓰인답니다.태양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행성이자 인류가 살고 있는 천체, 지구. 지구는 ‘땅 지(地)’와 ‘공 구(球)’로 이뤄진 한자어예요.그 중 ‘지(地)’는 ‘흙 토(土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