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돌 주(週)’는 ‘쉬엄쉬엄 가다 착(辶)’과 ‘두루 주(周)’가 합쳐진 글자예요. 주위를 어슬렁어슬렁 돌아다닌다는 의미가 ‘돌다’라는 뜻까지 넓어졌답니다. ‘쉬엄쉬엄 가다 착(辶)’을 부수로 쓸 때는 ‘책받침’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기약할 기(期)’는 ‘달 월(月)’과 ‘그 기(基)’가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반 하벨이 쓴 논문이 처음이라는 설도 있고, 1984년 미국 수학자 마셜 벅과 더그 위드만의 논문이 시초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한편 1988년 미국 수학자 할 키얼스태드와 윌리엄 트로터가 쓴 논문에 따르면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출제한 장본인으로 서로 다른 사람을 지목했습니다. 헝가리의 수학자 ... ...
- [지식] 아름다운 수학을 탐험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복잡해질수록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분야다.일상이 연구 소재!김 교수의 책상 위에는 알록달록한 정십이면체가 서너 개가 있었다. 꼭짓점을 이루는 색종이 20조각을 접어 조립해 만든 도형이었다. 정십이면체다. 정십이면체는 대칭이 많은 물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처음에는 인터넷에서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렇군요. 저보다 더 훌륭한 수학자로군요….”“하하, 그렇지 않아요. 리만이 위대한 수학자인 건 맞지만, 유클리드 아저씨가 없었으면 리만 기하학도 없었을 거예요.”유클리드가 자신의 이론이 부정됐다는 사실에 의기소침한 모습을 보이자 단이 황급히 덧붙여 말했다.“리만 기하학에서는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억울한 일을 줄일 수 있을 겁니다.”한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취급에 따른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경기)’가 우수상(2등)을 수상했고, ‘활성탄 흡착설비에 관한 실험적 연구(울산)’, ‘시동커패시터에 대한 실험적 분석(전북)’, ‘영상기록 장치를 활용한 발화지점 판정에 관한 연구(강원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다. 황 박사는 “폐기종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기도처럼 프랙탈 구조를 띤 다른 부위가 손상됐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인공장기 설계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랙탈이 현대 의학에 달아줄 수 있는 날개의 크기는 무한하다. 하지만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프랙탈 의학을 연구하는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맥스 라이너 교수는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안마기 같은 요상한 흰 기계 위에 다짜고짜 엎드릴 것을 권했다. ‘헤드셋과 선풍기까지 연결된 이 기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반신반의하며 초면인 그 앞에서 ‘대(大)’자로 엎드렸다. 헤드셋을 쓰고 두 팔을 벌리자 기자의 몸은 미국 뉴욕 맨해튼 시내를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크리스마스다. 게임 세계에 기념 ‘랜덤박스’가 쏟아진다. 랜덤박스란 어떤 아이템이 나올지 모르는 확률형 아이템을 말한다. 게임 속 복권이다. 랜덤박 ... 뜻이다.곧 크리스마스 시즌 아이템이 쏟아진다. 랜덤박스 앞에서 현명한 유저가 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냉정히 생각해 보자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돌기’ 이런 식으로 움직이고, 하나씩 깰 때마다 10점씩 얻어요. 총점으로 미션 순위를 매겼고요.주헌 : ‘코봇’을 이용해서 게임을 만드는 미션도 있었어요. 조이스틱을 움직여서 다가오는 공을 피하는 게임을 만들었어요. 원석이는 아빠랑, 저는 엄마랑 참가했어요.Q 미리 코딩을 배웠나요?원석 : ... ...
- [과학뉴스] 곤충, 날개 위 소용돌이 유지해 ‘슝~’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제자리비행이 모두 가능하고 돌풍에도 뛰어난 안정성을 보인다. 그 비결이 날개 주위의 복잡한 소용돌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조원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팀은 제자리비행에 능숙한 박각시나방을 본 따 크기가 5배인 ‘날갯짓 로봇’을 제작했다. 그리고는 물을 채운 수조에 로봇을 넣고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