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박 2일에서 원형 룰렛을 돌려 미션을 결정할 때가 있다. 어느 한 미션이 걸릴 확률은 룰렛
전체
넓이에 대한 그 미션이 차지하는 부분의 넓이를 계산해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한 확률은 ‘기하학적 확률’ 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오른쪽과 같은 룰렛 판이 있다고 가정하자. ‘꼬막 3000개 캐기’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단원에서는 자료를 수집해 읽고 분석하는 과정을 주로 공부합니다. 맨 먼저 자료의
전체
흐름을 알기 위해 평균을 배우고 단계별로 새로운 개념들을 더해갑니다.특히 중학생 때는 주어진 자료, 즉 변량을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로 그리는 방법을 배우죠. 또 표와 그래프가 나타내는 것을 해석하는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둘을 분리한다.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박사는 “절개지 붕괴는 공사가
전체
원인의 70%를 차지한다”며 “산사태와는 별개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현재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는 산사태 위험지와 예보 역시 좁은 의미의 산사태를 예측한 지도다. 사실상 ‘사람이 건드리지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다른 빗물 저장조로 옮긴 뒤 다시 깨끗한 물로 채우고 있다. 지금까지 스타시티 단지
전체
면적에 떨어진 빗물 중 67%를 용수로 활용했다.빗물이 땅으로 흡수되도록 돕는 시설도 있다. 이승복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독일은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장 적극적으로 ... ...
커피 얼룩에서 테두리 없애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물분자가 마를 때까지 막에 걸린 타원형 입자는
전체
에 균일하게 분포했다.연구팀은
전체
구형 입자 중에 타원형 입자를 0.015%만 넣어도 이런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혔다. 이 발견은 극미량의 비구형 입자만 넣어도 표면을 균일하게 코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달
전체
에 마그마가 마치 바다처럼 퍼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마그마 바다설이다. 달
전체
를 덮고 있던 액체상태의 마그마에서 밀도가 높은 감람석과 휘석은 가라앉아 하부 맨틀이 되고, 부력이 있는 사장석은 위로 떠올라 표면을 이루게 된다. 마그마가 식어 점점 딱딱해지면, 맨틀과 달 지표면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00개가 있다. 그래도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우리은하의 우주먼지를 다 합치면 우리은하
전체
질량의 0.1% 정도를 차치한다. 티끌모아 태산인 셈이다. 한편 성간가스는 이보다 훨씬 많아 10%를 차지한다.별들 사이의 공간에 먼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1930년대 처음 밝혀졌다. 그 전까지는 우주공간이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예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측 기기가 필요해요. 우선 인공위성은 카메라를 통해 지구
전체
바다의 변화를 관측해요. 그리고 조사선과 항공기, 뜰개는 직접 바다에서 수온, 염분 등의 자세한 정보를 알아 내죠. 기상예보관은 이렇게 관측한 자료와 날씨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을 함께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작아 단어장으로 많이 쓰인다.바인더 공책의 구멍은 몇 개일까?공책에 문제를 풀다가
전체
적으로 잘못 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적고있던 쪽을 찢어버리고 싶다. 조심하면서 종이를 찢었다. 그런데 엉뚱한 곳에서 다른 한 쪽이 같이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가운데를 실로 묶어 만든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들을 둘로 나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➍와 ➎처럼 직선으로 구분하면
전체
10개 중 2개 정도는 잘못 분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➏과 같은 곡선을 이용해 분류하면 정확하게 나눌 수 있다. 여기에 하나의 특징이 또 추가된다면 3차원(입체) 공간상의 두 특징 분포를 곡면을 통해 더욱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