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뉴스
"
순간
"(으)로 총 2,92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화문에서]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동아일보] “별들이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지 보세요.” “그렇소. 지금 이
순간
저 별들이 어떻게 빛을 내는지 아는 사람은 이 세상에 나 혼자뿐이오.” 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아서 에딩턴은 1912년 별이 빛나는 것은 수소 핵융합 반응 때문이라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얼마 뒤 여자친구와 함께 ... ...
해마가 느리다고?먹이를 보면 벌보다 빠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3D처럼 보이는 사진을 찍는 촬영법으로, 이를 이용해 난쟁이해마가 요각류를 잡아먹는
순간
을 포착했다. 연구팀은 해마가 아주 가까이 다가갈 때까지 요각류가 도망가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해마가 움직일 때 물결이 생기지 않아 요각류가 위험을 인지 못했다는 점인데, 이는 해마의 콧구멍 ... ...
순간
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네이처 제공 검푸른 표면 위로 물방울이 네 갈래로 쪼개져 튕겨져 날아가고 있다. 표면의 정체는 모르포 나비의 날개. 모르포 나비의 날개는 물방울이나 습기가 달라붙지 않는 소수성 성질이 매우 강하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물기가 표면에 묻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미국 MIT ... ...
[채널A]‘쌍둥이 블랙홀’ 존재 은하 최초 포착
채널A
l
2013.11.13
발견됐습니다. 서로 이웃한 두 은하가 충돌해 합해지기 직전, 즉 은하의 진화 마지막
순간
에 중심부에 있던 블랙홀이 포착된 겁니다. 계란 2개를 그릇에 담으면 흰자는 합쳐지지만 노른자는 따로인 것과 유사한 상태입니다. 수억 년 뒤엔 이런 쌍둥이 블랙홀도 결국 충돌해 하나로 재탄생할 걸로 ... ...
최악의 인명피해 낸 슈퍼태풍,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내 해안가 도시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역시 하이옌의
순간
풍속이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빠른 시속 235마일(약 시속 378.2km)로 측정됐다고 밝혔다. 이렇게 사상 최악의 태풍이 만들어진 이유는 뭘까. 이에 대해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허창회 교수는 “하이옌이 ... ...
우주에서 본 일식 장면 화제, 해를 품은 달
동아닷컴
l
2013.11.07
3일 러시아 위성이 159년 만에 일어난 하이브리드 일식을 촬영한 것으로 일식이 일어나는
순간
달그림자가 지구의 아프리카 대륙을 덮는 모습이 담겨있다. 하이브리드 일식이란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달이 태양을 가림과 동시에 달그림자가 지구를 덮는 것을 말한다. ... ...
'러시아 운석우' 120만 년 동안 태양계 떠돌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높은 고도인 29.7km에서 가장 밝게 빛난 동시에 폭발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순간
소행성의 질량 중 75%가 소실됐을 것이라 설명했다. 그 직후 소행성은 여러 조각으로 갈라져 첼랴빈스크 주에 떨어졌다. 첼랴빈스크 운석 단면. 4cm 크기로, 속이 갈라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이언스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막 도착했단다. 포장을 열어 안을 보니 아이온 토렌트의 그 장비가 아닌가.
순간
필자는 2년 전 신나게 자기 기계를 자랑하던 로스버그가 떠올랐고, 그가 허풍쟁이인 건 아니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생명과학계의 스티브 잡스? 주간과학지 ‘네이처’가 발행되는 목요일이면 필자는 사이트에 ... ...
언어와 음악능력 뛰어난 사람의 뇌 들여다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있다. 이 때문에 네이처는 이번 주 주제로 ‘쓰레기 최고점’을 들고 나왔다. 지금 이
순간
의 쓰레기 배출량을 최고점이라고 하고, 앞으로는 그 양을 줄여보자는 얘기다. 캐나다 온타리오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다니엘 훈웨그 교수가 ‘코멘트’에 실은 글을 표지로 선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반응을 관찰하려면 초고속 레이저를 활용해야 한다. 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매
순간
마다 연속으로 포착하기 위해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초고속 레이저를 활용하면 100조분의 1초처럼 매우 짧은 시간에 진행되는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의 레이저 파동(펄스)이 분자와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