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d라이브러리
"
밀
"(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04
자라기 때문이다.“바이오에탄올이 해답이죠.” 박 박사가 덧붙였다. 바이오에탄올은
밀
, 옥수수, 보리, 고구마, 사탕수수 등을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바이오디젤이 유지작물에서 식물성 기름을 추출하는 것이라면 바이오에탄올은 전분작물에서 포도당을 얻어 이를 발효시킨 것이다. 포도주를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04
제공하고 오물을 정화할 수 있다.러시아는 1996년 우주정거장 미르에서 작고 푸른 난쟁이
밀
을 재배하는 등 적극적으로 우주정원을 가꾸기 시작했다. 미국도 같은 해 우주에서 애기장대를 재배해 40일 만에 열매를 맺게 하는데 성공했다. 세계 15개국이 함께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우주정원을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03
지구의 ‘발전기’ 역할을 해 자기장을 만들어낸다는 것. 외핵 내부에서 위아래 온도와
밀
도 차이로 대류운동이 일어나 유체가 움직이게 되면 유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전기로 바뀌어 유도전류가 형성되고, 이 전류가 자기장을 만들어 지자기가 형성된다.몇 년 전부터 지자기 역전에 대한 논의가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02
高角度衝上斷層) 또는 단순히 충상이라고도 하며, 상반(上盤)이 하반(下盤)의 암층에
밀
려올라간 경사 이동형 단층을 말하며 역단층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제트 엔진의 스러스트(推力)를 거의 역전시켜 차륜브레이크의 작용을 돕는 장치 역스러스트장치·역추력장치라고도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01
초밖에 되지 않는다.현대 우주론에 의하면 우주는 탄생 당시 많은 에너지가 뭉쳐 있었고
밀
도 역시 상상을 초월한다. 그런 상태에서는 중력이 강하고 지금 우리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의 1억년이 그 상황의 1초일 수도 있다. 즉 중력이 강했던 창세기의 하루는 지금의 시간으로 볼 때 100억년 일수도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01
기고했다.에딩턴은 당시 영국 천문학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프랭크 다이슨과 긴
밀
한 관계였다. 다이슨은 상대성이론의 전문가는 아니었지만 에딩턴으로부터 상대성이론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1919년 일식 때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관측대를 파견하자고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01
상관없을 듯한 상대성이론이 사실은 매우 가까이 있는 셈이다.미국 콜로라도대
밀
애쉬비 교수는 “1970년대 군사용 GPS위성을 처음 띄웠을 때 상대성이론 효과가 나타난다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첨예하게 나뉘었다”며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최근호 인터뷰에서 밝혔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01
둔 육촌 누이 엘자와 곧바로 결혼했다.1922년 아인슈타인은 노벨상을 타자 상금 일부를
밀
레바에게 이혼 위자료로 줬다.상대성이 뭐꼬?근엄한 과학자에게 유머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지만 아인슈타인은 연구를 하다가 짬이 나면 유머를 얘기하기 좋아했다. 한번은 영국 태생의 프린스턴대 인류학자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12
태양흑점이 농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스라엘 하이파대 천체물리학자인 레브 푸스틸닉 교수와 농업경제학자인 그레고리 ... 한 지역에서만 전체 생산량의 70%가 생산되기 때문에 이 지역 특유의 기후 상태가 전체
밀
생산량에 큰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12
집어먹는다. 반면 솔잣새의 경우 껍질 틈 사이에 부리를 박고 나사처럼 돌려 속으로
밀
어 넣어 열매를 먹는다. 솔잣새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소나무나 잣나무의 씨앗을 먹는데는 이 방법이 더 쉽다.그렇다면 부리가 어긋나는데 일정한 방향이 있을까. 유럽에 분포하는 솔잣새는 모두 위쪽 부리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