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포가 즐거운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607
비행할 때 받는 정도의 가속도로 일반인은 견디기 힘들다. 큰 중력가속도가 지속되면
시야
가 어두워지고 숨쉬기가 힘들어지며 심한 경우에는 혈관 파열로 사망할 수 있다.실제로 2000년에 열린 미국신경학회에서 일본 지바대 연구진은 롤러코스터를 여러 번 탑승한 사람들의 뇌 피막 아래에 피가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07
대부분의 발명을 실용화하는데 실패했지만, 그 아이디어는 다른 발명가나 과학자의
시야
를 넓혀줬다. 거의 모든 현대기술의 원조테슬라 평생의 꿈은 무선으로 에너지를 송신하는 일이었다. 처음에는 진동수가 태양광(가시광선)에 가까운 고주파를 이용하면 당시의 조명이 더 밝아진다는 생각에서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06
LCD는 그동안 액정이 비틀린 ‘TN’(Twisted Nematic) 방식으로 빛을 투과시켰기 때문에
시야
각 문제가 있었다. 가령 TV를 정면에서 보면 ‘붉은 악마’인데 양 옆에서 보면 ‘검은 악마’다.TN 방식은 두 편광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수평으로 놓인 액정 분자가 수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편광판과 배열 ... ...
스위치 하나로 초점 맞추는 안경렌즈
과학동아
l
200605
먼 곳을 보는 렌즈가 같이 들어있는 이중초점 안경을 쓴다. 하지만 이중초점 안경은
시야
가 좁고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볼 때 렌즈를 바라보는 곳이 달라 불편했다.액정은 반은 액체, 반은 고체인 물질로 액정 분자는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데 전기를 흘려주면 분자배열이 바뀐다. 연구팀은 이런 특성을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04
있다 1879~ 1935 독일의 광학기계 기술자 슈미트 카메라 혹은 슈미트 망원경이라 불리는
시야
가 넓은 광학계(光學系)를 발명했다 그는 통신기사·사진기사·설계기사 등으로 일하면서 천문학과 광학을 독학하고 경혐을 쌓았다1916~ 스웨덴의 생화학자 스톡홀름 태생 1938년 런던에 유학한 후 뉴욕의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04
되며, 특히 적외선으로 천체의 세밀한 부분까지 연구할 수 있다. 2호기는 지름 1.5°
시야
에 들어오는 약 5000개 천체들의 스펙트럼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지구상에 건설된 어떤 망원경보다도 효율적인 장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국 쌍둥이 대형망원경이 완성되면 별, 행성,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03
한강 다리의 경우 조명이 교각이나 상판만 비추도록 해야 하는데 불빛이 운전자의
시야
에 들어와 눈부심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도 일종의 광공해다. 건물 벽면이나 옥상에 설치된 대부분의 전광판은 휘도 기준값을 넘어 광공해를 유발한다. 10년 전만 해도 서울에 경관조명이 별로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03
윤상의
시야
결손으로 시작된다
시야
결손은 주변 및 중심을 향해 진행되며 결국은 중심
시야
만 남게 된다 주로 망막아세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하나 5세 이하의 어린이에 많으며 망막교양종(網膜膠樣腫)이라고도 한다생후 1년 이내에 발증하며 약 1/3은 양안성으로 유전되고 편안성은 유전되지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01
진화과정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름 50cm의 반사경을 가진 작은 망원경이지만
시야
가 허블 망원경보다 100배나 넓다. 2003년 연구팀은 갈렉스를 이용해 안드로메다은하 전체를 자외선으로 관측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지난해 연구팀은 갈렉스로 구상성단을 관측했다. 구상성단은 같은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01
프로키온으로 향했다. 그 순간 그는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다. 망원경 속에서 밝은 별이
시야
에 들어오면 모든 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희미한 점 하나가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챈 것이다. 바로 밝은 별의 허상(ghost)이었다.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