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충돌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407
한단계 향상된 첨단제동장치인 ESP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밖에 운전자
시야
정면에 정보시스템을 집중시킨 전방표시장치(HUD)를 비롯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위의 기술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 자동차들은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예방하는 능동적인 개념의 안전장치들을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04
기압값을 추정한다 이렇게 조정된 기압을 해면기압이라고 한다렌즈를 통해 보이는 각과
시야
, 넓이를 말한다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은 넓어진다 카메라와 비교했을 때 눈의 초점거리는 50mm다1867년 천문학자 에른스트 빌헬름 템펠이 발견했다 길이 14km, 폭 4km로 목성과 토성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03
결정됐다.방탄헬멧을 썼을 때
시야
각도와 무게중심도 중요한 요소다. 전투 중에는
시야
가 넓을수록 유리하고, 또 무게중심이 제대로 잡혀있어야 전투 중 헬멧이 흔들리거나 벗겨질 염려가 적기 때문이다. 끈으로 조여 헬멧을 쓰면 13mm 정도 공간이 뜨는데, 공기가 순환해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02
천체망원경의 새로운 맛을 만끽할 수 있다. 50배 정도의 저배율에서는 두 성단을 한
시야
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1백배 정도의 중배율에서는 성단의 세세한 모습을 확인하기엔 그만이다. 특히 M46에는 수백개의 별들이 모래처럼 깔려 있는 장면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겨울철 밤하늘에서 가장 멋있는 ... ...
첨단기술의 결정체 2004년형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12
커브길의 각도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그리고는 커브 안쪽 전조등이 회전해 운전자의
시야
를 넓혀준다.이 외에도 안전을 위해 충돌방지장치가 설치됐다. 이 장치는 레이더를 이용해 충돌직전 당황하는 운전자의 위험을 줄여준다. 차량이 물체에 빠른 속도로 다가가면 레이더 빔은 위험을 감지해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12
마이크로초, 1백만분의 1초)로 빨라 고화질 동영상 구현에 적합하다. 또 일반 액정과 달리
시야
각도 넓어 어느 위치에서나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전화로 보는 방송 시대로 넘어가면서 ‘더 크고 선명한’ 화질에 대한 요구는 더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휴대폰으로 홈페이지 관리 끝바쁜 일상.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12
푸른색 성운에 휩싸여 있는 듯이 보이는데 그 빛이 참으로 아름답다. 대개 소형 쌍안경의
시야
는 5-7도 가량이므로 이 성단을 여유 있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은 이 성단이 쌍안경으로 보기에 가장 흥미로운 대상이라고 하기도 한다.쌍안경에서는 성단을 이루는 각 별들을 주의 깊게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11
때문이다. 천체망원경은 쌍안경에 비해 대개의 경우 배율이 높다. 이 은하는 망원경의 한
시야
를 꽉 채울 만큼 크고 매우 어두운데다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서 비교적 높은 배율의 천체망원경으로는 만만치 않은 대상이다. 그러나 낮은 배율로 관측해야 한다는 기본을 지킨다면 그리 어려운 대상은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11
볼 때 목성의 반대편에서 일어났는데, 공교롭게도 목성으로 다가가던 갈릴레오의
시야
에 들어왔다. 갈릴레오는 혜성 충돌이라는 놀라운 장면을 직접 포착할 수 있었다.갈릴레오, 목성 대기에 자폭한 이유갈릴레오는 1995년 12월에야 목성에 도착했다. 하지만 탐사는 이미 5개월 전부터 시작되고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10
영역인 9-20μm에서 SIRTF는 스펙트럼만 얻을 수 있을 뿐 영상을 관측할 수 없다. 그리고
시야
가 좁기 때문에 우주 전체를 탐사 할 능력이 없다. 이러한 약점들을 커버할 수 있는 적외선우주망원경이 현재 개발중에 있다. 서울대가 일본 우주과학연구소, 영국 임페리얼 컬리지(Imperial College)와 공동으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