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맹
연합
합동
단결
협회
맹약
리그
d라이브러리
"
연맹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07
세기경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측정했다.현재 국제천문
연맹
(IAU)은 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를 1억 4천9백59만 7천6백70 km로 확정,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 길이를 1천문단위 (1AU)라고 부른다.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와 태양의 시반경으로 태양의 반지름을 구하여 보면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06
천문대에서 촬영한 초신성사진이 국내 각 일간지 1면에 실린 일이 있었다. 국제천문
연맹
(IAU)은 지난 3월31일 북두칠성 근처에 있는 M81이라 불리는 은하 근처에서 밝은 초신성이 발견됐다고 긴급 전문을 보내왔으며,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도 61cm 광학망원경으로 4월1일과 2일 새벽에 걸쳐 이 초신성을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5
그 뒤 각국에서 서로 다른 이름의 지명을 붙이기 시작하여 대혼란이 일어나자 국제천문
연맹
의 달위원회가 달의 이름을 통일 조정했다. 일본인의 이름을 가진 달 지명도 여러개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많고많은 달 지명 가운데 한국사람의 이름은 단 하나도 끼어 있지 않아 안타까울 뿐이다 ... ...
수륙 넘나들며 생활하는 수달
과학동아
l
199305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인근 일본에서는 절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제자연보존
연맹
이 발간한 적색자료목록(Red Data Book)에도 취약종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수달은 CITES조약(절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조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04
서식하고 있는 크낙새는 전장이 40㎝를 넘는 대형 딱따구리의 일종이다. 국제자연보호
연맹
(IUCN)의 '절종위기'(Red Data Book)에 등록돼 있는 이 희귀조는 일본 쓰시마섬에서 잡힌 표본이 1879년 영국인 트리스트람(Tristram)에 의해 Drgocopus richardsi Tristram이란 학명으로 영국동물학잡지에 처음으로 발표됐 ...
햄
과학동아
l
199304
1백만원, 해외교신이 가능한 단파(HF)장비가 80만원 이상 들어간다고 한다. 아마추어무선
연맹
회지에 실린 중고장비를 눈여겨보는 것도 값싸게 구입할 수 있는 요령이다. 또 매달 둘째주 일요일 용산전자상가 21동 주차장에서 열리는 '개미 시장'에서도 중고장비를 싼 값에 살 수 있다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01
발달과 더불어 어떤 종류는 절종됐고 일부는 절종의 위기에 놓여 있다. 국제자연보존
연맹
세계야생생물기금(WWF)이 중심이 되어 이들을 국제보호동물로 지정해 놓았다. 절종위기에 놓인 야생동식물의 거래를 규제하는 협약(CITES) 등을 체결, 범국제적인 보호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렇지만 생물의학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09
독일을 비롯한 백인들이 진출해 이곳을 식민지화(1884년 독일보호령) 했으나 1920년 국제
연맹
에 의해 1차 대전에 패한 독일 대신 남아프리카의 신탁통치령이 되었으며, 2차 대전 후에는 남아프리카에 통합되었다. 오랜 독립투쟁 끝에 지난 89년 11월 유엔감시하에 국민투표를 거쳐 제헌의회를 구성했고, ...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7
홍보하고 또 20여년동안 꾸준히 환경을 노래한 가수의 콘서트도 있었다. 일본 소비자
연맹
의 우유팩 재생시범, 폐기름으로 비누만들기 등을 보여주는 프로그램도 인기였다. 일본의 한 단체는 3천군데에 환경모니터링을 조직해 질소산화물과 산성비등을 측정, 환경오염을 감시하는 활동을 벌이고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06
88년 3월 서울컵 복싱대회에서 소련 엔지니어들이 선보인 이 시스템은 89년 국제아마권투
연맹
(AIBA)이 모든 국제대회에 이를 도입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이제는 보편화 됐다. 컴퓨터채점기의 원리는 간단하다.심판들이 펀치력과 정확도를 두루 보고 한회가 끝난 다음 매회 20점 만점으로 채점하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