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디움
운동장
구기장
야구장
운동경기장
그라운드
운동회
d라이브러리
"
경기장
"(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않도록 킥의 강도를 발에 익히는 훈련이 필요하다.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는 고민 끝에
경기장
을 크게 건설하고 선수 숫자를 늘리는 쪽으로 결정했다. 우주에서 연습시간을 많이 갖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달에서 벌어진 축구경기에 출전한 한팀의 선수는 11명에서 30명으로 늘어났다.달 ... ...
4. 쇼트트랙 계주처럼 밀어주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상대선수가 공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평균 여유시간은 2.4초다.만일 우리 팀 선수들이
경기장
절반을 사용하면서 오프사이드 전술을 활용해 초속 5m로 압박한다면 상대선수가 공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은 1.4초밖에 되지 않는다. 압박축구는 개인기가 좋은 팀을 만났을 때 상대선수가 공을 오래 잡고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적합한 악기로 꼽혔다.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도 북은 대한민국 응원단의 필수품이다.
경기장
에 직접 갈 수 없다면 ‘길거리 응원’이라도 좋다.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가슴 떨리는 짜릿한 순간을 다시 한 번 느껴보자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짧다.가로 세로 2m가 넘는 거대한 유리기판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은 단순하지 않다. 축구
경기장
10개를 합친 면적의 공장안에는 수많은 로봇들이 5μm 간격의 유리기판 사이로 액정을 주입하고 두께 0.7mm로 자르고 운반한다.LCD 유리기판 한 장을 만들기 위해 전기, 화학, 기계, 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 ...
3. 100m 달리는데 33초 이상 걸려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넘으면 소행성 구장을 떠나 우주로 날아간다. 초등학생도 이 정도는 찬다. 조직위는 공이
경기장
에서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스스로 돌아올 수 있도록 ‘인공지능 전자칩’을 장착했다. 사람 몸무게만한 힘 가진 공일부 선수들은 공을 강하게 차 상대선수를 맞히면 그 선수를 우주로 내쫓을 수 ... ...
온 가족이 즐기는 축구로봇 미스터싸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아닐지라도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즐길 수 있다. 로봇이 슛을 할 때 들리는 함성소리는
경기장
의 현장감을 더해준다. 사람이 많으면 로봇을 추가해 팀플레이인 패스와 콤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미스터싸커는 로봇 15대까지 주파수 혼선없이 조종할 수 있다. 어떻게 27MHz의 동일한 주파수를 쓰는 ... ...
월드컵 8강서 브라질과 승부차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자료를 분석하는 일이 꼭 도움이 되진 않는다.결국 국가대표간의 38경기 자료를 모았다.
경기장
의 온도, 상대편의 1군이 경기에 나왔는지, 그 경기를 하기 전 최근 6경기의 결과까지 수집했다. 이제 좀 쓸 만한 공식을 만들 수 있었다. 정확도 83%로 경기결과를 예측하는 공식이 탄생했다. 과거에 이긴 ... ...
[교과연계수업] 원심력과 구심력의 조화, 쇼트트랙!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달리는 이 두 종목을 잘 하는 비결은 뭘까요? *쇼트트랙 : 스피드스케이트와 비슷하나
경기장
의 크기가 훨씬 작다. 빠른 속도도 중요하지만 회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힘보다는 기술이 중요한 운동이다. 111.12m의 짧은 트랙을 달리기 때문에 ‘쇼트트랙’이라고 부른다. ... ...
나도 이제 카트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필요 없이 통과할 수 있는 코너 등 모두 7개의 다양한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그밖의 카트
경기장
으로는 자유로 통일동산에 위치한 카트랜드, 강원도 원주의 발보린 모터파크, 제주도의 발보린 카트클럽이 있다. 이제 사람들이 북적대는 놀이공원의 놀이기구를 떠나 속도가 주는 즐거움과 과학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2010년에 완성될 예정이며 각 나라가 만든 부품들이 모두 결합되면 축구
경기장
의 1.5배 크기에 450톤의 무게를 가진 거대한 모습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앞으로 불과 5년 후면 우주공간에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되는 것이다. 국제우주정거장은 거대한 무중력 실험실지구와 다른 우주공간만의 특별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