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d라이브러리
"
공명
"(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오기 때문이다.우선 뇌는 우리 몸의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줄어든다. 자기
공명
영상(MRI)으로 촬영한 노인의 뇌를 보면 젊은이의 뇌에 비해 뇌가 줄어 안쪽에 액체가 차 있는 공간인 뇌실 부분이 현저하게 커져 있고, 뇌 바깥쪽 주름 사이 빈 공간이 넓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네덜란드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느낄 때 대뇌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이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같은 장비를 사용해 뇌의 변화를 조사해야 하지만 이처럼 용감한 학자는 아직 없었다. 하지만 성적 쾌락이 주로 대뇌 안쪽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고(故) 폴로터버 교수를 예로 들었다.“양자역학을 이용한 실험장비 중에 핵자기
공명
장치(NMR)가 있어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실험실용 장치였지요. 그런데 로터버 교수는 이걸 의학용인 MRI로 개조해서 노벨상을 받았어요. 순수과학용 실험이 아니었다면 태어날 수 없었을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인간답게’ 만들어주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있다.최근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 등 뇌의 활동을 수시로 훤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기들이 개발되며 뇌지도, 기억과 학습, 스트레스와 감정 등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어려운 문제는 '의식’이다. 20세기 말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은 맞지만 공진은 아니다. 의료 분야에서 쓰는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는 핵자기
공명
원리를 이용하므로 공진을 이용하는 사례가 맞다. 몸을 구성하는 물 속에는 수소 원자핵이 있다. MRI의 전자기파가 수소 원자핵과 공진을 일으키면 수소 원자핵이 진동한다. 그때 진동을 멈추고 수소 원자핵이 원래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1년 6개월 정도 하티셀그램이 심장 근육과 혈관 조직을 얼마나 재생시키는지 자기
공명
영상(MRI)을 통해 추가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식약청에서는 무릎연골결손 줄기세포치료제도 품목허가가 진행 중이며 빠르면 올해 안에 제품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FCB파미셀에서는 기자회견을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라는 의료용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쓰였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같은 의료기기로는 2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데, 이 2차원 이미지를 쌓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3차원으로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의료 이미지를 이용해 3차원 영상을 제작하면 실제 내부 구조와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런데 우리는 눈 하나만 아프다고 해도 전체를 검사한답니다. 엑스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몸 전체에 이상이 없는지 알아보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뇌 기능도 살펴봐요.마우스 병원이 없었을 때는 작은 실험실에서 이상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는 부분만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정신건강중앙연구소 안드레아스 메이어-린덴베르크 교수팀은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도시 사람과 시골 사람에게 미치는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도시 사람이 스트레스에 민감하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6월 23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어려운 산수 문제를 풀게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부분을 자극해야 하는지도 정해야 한다. 지금 쓰는 TMS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장치(MRI)로 환자의 뇌 영상을 찍어 어디에 코일을 대야 하는지 결정한다. 그러나 tDCS는 이런 기술이 없다. 지금은 대상 부위 인근에 전류를 흘리는 수준이라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 머리에 화상과 근육경련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