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만들면 정말 훌륭한 전자 코가 되겠죠. 요즘 바이오나노 분야가 발전하면서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을 이용해 화학 반응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소리도 듣고 냄새도 맡으며 더욱 똑똑한 로봇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개발하면 ...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파장이 짧을수록 얇은 폭의 회로를 새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포토레지스트가 248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긴 파장의 빛에 반응하는 것으로 충분했다면, 지금은 그보다 짧은 193nm 파장의 빛에 반응하는 포토레지스트가 공급되고 있다.그 다음 단계로 최근에는 초소형 반도체 개발을 위해 1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다. 그의 연구실 문을 처음 두드린 이는 이왕식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나노바이오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모든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논문 심사만 남은 상태다. 그는 “향후 미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계속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앞으로 단백질 등 복잡한 구조의 분자에서 원자 하나하나의 스핀 상태를 시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67-019-0573 ... ...
                            
                                                              
- [과학뉴스] 인간 근육보다 40배 센 인공근육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제작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7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아크릴, 비단, 대나무 등 여러 섬유를 섞은 뒤 꼬아서 인공근육을 제작했다. 그리고 온도 변화와 전자기장, 화학물질 등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재료를 겉에 씌우고, 외부 자극을 받으면 겉면이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받아들여 스스로 학습하는 기능을 갖췄다.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기물질인 ‘강유전체 ... ...
                            
                                                              
-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으로 분석했다. 황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현상으로 초신성 주변 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우주먼지 알갱이의 생성 비밀을 풀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천체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50-019-0763-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는 이유입니다.   스트레처블 투명 전극은 어디에 쓰이나요?우리 연구실은 지난해 은나노섬유 기반의 스트레처블 투명 전극으로 구부러지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doi:10.1038/s41467-018-04906-1 아주 작은 정전식 센서들을 나열해 지문과 접촉하는 부분의 신호를 읽어내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티타늄을 대체하기가 용이한데다 훨씬 저렴해 경제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장은 “이 기술은 불균일촉매의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히는 낮은 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실제 수소 생산에 이 촉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정 단순화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깎아내기 위한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작업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2011년 개발한 멕센 나노잉크를 이용해 열처리가 필요 없이 한번에 전자회로를 인쇄했고, 이를 이용해 초미세 축전기, 저항장치 등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멕센 잉크는 향후 압전 방식의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등에 적용될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