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떨어져 있는 DNA 정보를 분석하는 데 쓰이는 팩바이오(PacBio) 염기서열분석법, 바이오나노 지노믹스 광학 지도 작성법 등을 조합해 약 100가지 레시피를 만든 뒤 1등을 뽑았다. 이렇게 나온 1.5버전의 파이프라인으로 현재 100여 개 게놈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할 것으로 전망되는 나노과학의 핵심은 *풀러렌과 *그래핀 등 탄소 화합물을 이용한 나노화학이다. 화학물질의 생산과 소비는 물론 폐기 과정까지 고려한 ‘녹색 화학’의 꿈 또한 탄소 없이는 이룩할 수 없다. 우리가 활용하고 있는 식량과 소재의 대부분이 탄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
- [과학뉴스] 인간 근육보다 40배 센 인공근육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제작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7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아크릴, 비단, 대나무 등 여러 섬유를 섞은 뒤 꼬아서 인공근육을 제작했다. 그리고 온도 변화와 전자기장, 화학물질 등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재료를 겉에 씌우고, 외부 자극을 받으면 겉면이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다. 그의 연구실 문을 처음 두드린 이는 이왕식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나노바이오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모든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논문 심사만 남은 상태다. 그는 “향후 미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계속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앞으로 단백질 등 복잡한 구조의 분자에서 원자 하나하나의 스핀 상태를 시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67-019-0573 ... ...
-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으로 분석했다. 황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현상으로 초신성 주변 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우주먼지 알갱이의 생성 비밀을 풀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천체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50-019-0763- ...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티타늄을 대체하기가 용이한데다 훨씬 저렴해 경제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장은 “이 기술은 불균일촉매의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히는 낮은 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실제 수소 생산에 이 촉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정 단순화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받아들여 스스로 학습하는 기능을 갖췄다.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기물질인 ‘강유전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는 이유입니다. 스트레처블 투명 전극은 어디에 쓰이나요?우리 연구실은 지난해 은나노섬유 기반의 스트레처블 투명 전극으로 구부러지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doi:10.1038/s41467-018-04906-1 아주 작은 정전식 센서들을 나열해 지문과 접촉하는 부분의 신호를 읽어내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깎아내기 위한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작업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2011년 개발한 멕센 나노잉크를 이용해 열처리가 필요 없이 한번에 전자회로를 인쇄했고, 이를 이용해 초미세 축전기, 저항장치 등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멕센 잉크는 향후 압전 방식의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등에 적용될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