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시냅스, 맨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맨틀이 되고 … (하략) 시냅스(synapse)스페인 신경과학자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은 뇌의 미세구조를 연구한 업적으로 유명해요. 카할은 ‘뉴런’이라 불리는 신경세포가 몸 전체에 하나로 연결된 게 아니라, 떨어진 채 서로 소통한다고 주장했지요. ‘시냅스’라는 단어는 영국 생리의학자 찰스 ...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한다. 가령 조직의 탄성도를 측정해 암을 진단하거나, 혈관 내 지방 조성을 측정해 뇌출혈 위험성을 조기에 알아낼 수 있다.의료영상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하려는 노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촬영된 의료영상을 AI가 해석해 질병의 진단을 돕는 것이 목표다. 물론 최종적인 판단은 전문 지식을 갖춘 ... ...
-
- [특집] OX퀴즈! 겨울잠, 얼마나 아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측정했어요. 그 결과, 토르퍼에서 깨어나 체온을 올리는 짧은 순간에만 수면을 의미하는 뇌파 신호가 나타났어요. 비슷한 결과가 겨울잠을 자는 다른 동물인 북극땅다람쥐와 중가리아햄스터에게서도 나타났지요. 그래서 생물학자들은 동물들이 체온을 올린 상태에서 부족한 잠을 보충한다고 ...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대후두공)의 위치를 통해 보행 패턴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큰구멍은 뇌에서 척수가 나가는 통로다. 인류의 경우 이족보행을 하기 때문에 아래를 향해 뚫려 있고, 따라서 사족보행을 하는 동물에 비해 앞에 위치해 있다. 필빔 교수는 “큰구멍은 많은 연구를 통해 보행 패턴과 ...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새의 피 냄새를 맡고 찾아오는 동물이 있다면? 짧은 순간에 오만 가지 끔찍한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어둠 속에서 무언가가 달빛 속으로 걸어 나왔다. 이새는 그걸 알아보고 속으로 안도했다. 퓨라 한 마리였다. 인간에게 가장 친근하다는 바로 그 녀석. 잡아먹히지는 않을 것 같았다.그런데 ... ...
-
- [질문하면 답해줌!] 왜 혀를 닦으면 헛구역질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모루뼈, 등자뼈로 이루어진 청소골을 지나고, 달팽이관에서 전기에너지로 바뀌어 뇌로 전달돼요.하지만 골전도는 한자로 뼈를 뜻하는 ‘골(骨)’에서 알 수 있듯이, 소리의 진동이 귀 주변 뼈를 통해 달팽이관에 직접 전달되는 현상이에요. 소리의 진동이 귀와 가까운 두개골과 근육 등을 거쳐 ... ...
-
- [핫이슈] 큐리오 매쓰매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기술’이라고 해요. 저와 김선경 뇌융합스터디 대표는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수학적 뇌를 발달시키는 방법을 함께 연구했어요.수학은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있어요. 이를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도구가 증강현실이라고 생각해요. 증강현실로 수학 개념과 원리를 재밌게 익히고, ‘수학은 ...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겨울잠에 대해 알면 알수록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우리가 부럽지 않니? 이렇게 다양한 포유류가 겨울잠을 잘 수 있다면, 인간은 어떨까? 글쎄, 인간이 겨울잠을 자게 하려 ...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 시상하부 : 체온, 수면, 물질대사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뇌의 부위 ... ...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옆면에 붙어 있어요. 맛을 내는 물질이 미뢰에 있는 미각 세포를 자극하면, 이 정보가 뇌로 보내져서 먹던 음식이 어떤 맛인지 알 수 있는 거예요.그렇다면 기본맛 이외의 맛은 어떻게 느끼는 걸까요? 대표적으로 매운맛과 떫은맛이 있지요. 매운맛은 혀의 통점(고통을 민감하게 느끼는 감각점)을 ...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초차원 컴퓨팅(hyperdimensional computing)’이라는 모델이다. 초차원 컴퓨팅은 인간의 뇌를 모사한 또다른 모델인 딥러닝 방식인 인공신경망(ANN)과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학습하는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고양이 이미지 데이터를 초차원 컴퓨팅 방식으로 학습한다고 해보자. ANN은 이 이미지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