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음식을 먹을 때가 되었다는 걸 인지해요. 그 결과 우리는 배고픔을 느끼는 거예요.이후 뇌는 위와 장 같은 소화기관이 움직이도록 만들어요.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거예요. 이때 장 속에는 공기가 주로 차 있기 때문에 움직이면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거랍니다.배가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Bridge.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 도움김하영(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강명주(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기술이 나오고 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신경기계번역(NMT)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람의 뇌신경망을 수학적으로 흉내낸 인공신경망은 함수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딥러닝 기술에 적용된다. 이때 사용하는 함수는 상황에 따라 변수가 갖는 확률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분포함수다. 한국어를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9주간 인지치료를 진행했다. 그리고 인지치료 전과 후 환자들의 뇌를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인지치료 이전에 비해 이후에 편도체 회색질 부분 부피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편도체 신경세포의 반응도도 감소했다. 연구팀은 불안장애 환자의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코알라도 민초단인 것인가).멘톨은 상피와 장기 표면 등의 열 수용체인 TRPM8에 결합해 뇌로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TRPM8은 원래 8~26℃의 낮은 온도에서 활성화되는데, 온도와 관계없이 멘톨이 TRPM8에 결합해 활성화되면, 우리는 온도가 26℃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도 시원하다고 느끼게 된다.원래 민트는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신경회로를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우리 뇌는 약 수백억 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복잡한 기관입니다. 이들은 발생 과정 동안 수많은 시냅스를 형성하고 정확한 신경 회로들을 만들어 냅니다. 이때 축삭 유도가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면 신경발달장애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하는 방식이다. 엄 교수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냅스 기능 이상과 뇌질환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연구에 계속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 교수는 “뇌와 AI가 상호보완적으로 소통하고 진보하는 기술을 꿈꾼다”고 말했다. 뇌와 머신러닝 둘 다 공부해야 하는 연구실이다 보니 공부량도 많을 것 같다. 이 교수는 “공부량이 두 배 아니냐는 고민을 하는 학생들도 많다”며 “두 분야는 같은 문제를 다르게 해석하는 분야로 맥락이 ... ...
- 위기의 해양동물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9년 발표했다. PDV는 홍역과 비슷한 바이러스로, 물개의 뇌와 폐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병을 일으킨다. doi: 10.1038/s41598-019-51699-4연구팀은 2001~2016년에 북태평양에 서식한 물개 2530 마리, 이곳에서 죽은 물개 165구와 해달, 바다사자 등 해양 포유류의 혈액과 콧물을 채취해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통이라는 말이 더 어울립니다.” 1월 7일 대전 자택에서 만난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기자가 건넨 첫 질문인 ‘왜 과학 대중화 활동을 하는가’에 대해 “과학은 누구에게나 어렵지만, 과학을 쉽게 설명하는 게 내 목표는 아니다”라며 이렇게 답했다. 그는 “아주 재밌는 영화를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