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두개골 뒤쪽을 감싸고 있는 혀는 용수철 같은 역할을 해서 뇌로 전달되는 힘과 진동을 줄여준단다. Q 싸움은 왜 일어난 거야?‘명당’을 차지하기 위해서야. 좋은 자리에 살던 딱따구리가 죽거나 사라지면, 오래 전부터 자리를 탐내던 다른 딱따구리들이 나타나 전쟁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덜덜덜...진동의 위력을 눈으로 느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공기의 진동이 귓속 고막을 진동시키면, 청각신경이 이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뇌로 전달해 소리를 듣는 거죠. 그래서 공기가 거의 없는 우주에선 아무런 소리도 들을 수 없답니다.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스피커에 들어있는 진동판이 공기를 진동시키기 때문이에요. 소리가 나고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훌륭한 식품이지요. 그래서 어린이 친구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주고, 뇌 활동을 활발하게 도와줄 수 있어요. 밥을 먹고 소화하면서 생기는 포도당은 어린이의 체력과 집중력을 높일 수 있으니 아침밥을 잊지 않고 꼭 챙겨 먹었으면 해요! Q 햇반으로 할 수 있는 또 다른 색다른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뜯고, 접고, 붙이면 몸속이 보인다? 우리 몸 탐험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뜯어서 접고 붙이면 멋진 우리 몸속 모형을 만들 수 있다는 소식이에요. 세포부터 근육, 뇌, 박테리오파지까지, 각종 정교한 종이 모형을 함께 만들어 볼까요?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 세균 잡는 착한 바이러스가 있다? 섭섭박사님이 ‘우리 몸 탐험 지도’ 키트의 상자를 열자, 뜯어서 만드는 ... ...
- [과학뉴스] 떫은맛 감지하는 인공 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있어요. 음식이 이에 부서지고 침에 녹아 혀에 닿으면, 미세포가 자극을 받아들여 뇌로 전기 신호를 보내요. 그 결과 우린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감칠맛을 느끼게 되지요. 이와 달리 떫은맛은 탄닌*처럼 떫은맛을 내는 분자와 혀 점막 단백질이 결합해 만들어진 응집체가 혀의 점막을 누를 때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를 감지하고, 미각 신경으로 신경전달물질을 보내요. 그럼 미각 신경이 이 자극을 대뇌로 전달해 우리는 맛을 느끼는 거랍니다. 사람의 혀에는 약 5천여 개의 미뢰가 있어요. 미뢰는 대표적으로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의 맛을 느낄 수 있지요. 맛은 미뢰로만 느끼는 건 아니에요. 사람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발표했어요. 동물은 귓속 달팽이관의 감각수용기관인 ‘유모세포’가 소리 정보를 뇌로 전달해 청각을 느껴요. 실험에 사용된 쥐는 생후 4주쯤 유모세포가 퇴화하며 청력을 심하게 잃었어요. 쥐의 ‘Tmc1’이라는 유전자가 일부 돌연변이를 일으켰기 때문이지요.연구팀은 청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학기술인도 많다. 대표적으로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와 송민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가 마련한 온라인 강연을 통해, 장규진 국제보건컨설턴트는 과학동아의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에서 독자들과 소통했다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오류가 적답니다. 세균에 ‘움짤’을 저장한 과학자가 있다?미국 글래드스톤연구소의 뇌과학자 세스 시프만 연구원은 201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말이 달리는 GIF를 대장균의 유전물질인 DNA에 저장한 뒤, 컴퓨터로 불러와 재생하는 데 성공했어요. 움직이는 이미지를 DNA에 저장한 건 최초였지요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종양 중 뼈에서 발생하는 골육종(osteosarcoma), 지방 세포에서 발생하는 지방육종(liposarcoma), 뇌에서 발생하는 교모세포종(glio- blastoma) 등에서 많이 발견된다. 특히 연골에서 발생하는 뼈암인 연골육종(chondrosarcoma)의 경우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사례에서 알트를 이용한다는 것이 확인됐다.알트는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