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외에도 두 편이 더 있는데, 이들은 아예 작정하고 우스개로 쓴 논문이었다 (박스 기사 참조). 신비동물학에서 다루는 자료는 과학적 증거보다 목격자 증언이나 발자국, 진위 여부를 가리기 힘든 영상 등이 대부분이며, 조작으로 밝혀진 것도 많다. 과학자가 밝혀낸 빅풋의 정체는?이 때문에 권위 ...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약한 짠맛을 내는 초산나트륨을 넣으면, 쓴맛은 감소하고 단맛은 강해진다(그래프 참조). 반면 설탕만 들어있는 용액에 소금을 넣으면 단맛에 큰 변화가 없다.다시 말해 쓴맛과 단맛이 같이 있으면 짠맛이 단맛의 천적인 쓴맛을 억제해 단맛을 더 달게 해주는 것이다. 잊지 말아야할 것은 ‘적당한’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카~.이슬람의 패턴을 찾아 갔던 말레이시아 여행(수학동아 2014년 11월호 참조)에 이어 이번에는 불교문화 속에 있는 띠 문양을 찾아 태국으로 떠납니다. 1000년의 불교 역사를 자랑하듯 태국에는 수많은 불교문화유산이 남아 있습니다. 거기에 아름다운 자연환경까지 겸비한 태국은 매년 2000만 명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떠 있는 야광운은 지평선 아래로 넘어간 해의 빛을 받아 반사시킬 수 있어요.(위 그림 참조)야광운이 생기는 곳은 지구 대기권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중간권이에요. 중간권은 공기가 흐르면서 열을 전달하는 대류운동이 약하고, 수증기가 없어 구름을 비롯한 바람, 비, 눈 등의 기상현상이 나타나지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 밖의 6개 나라가 함께 하고 있어요. 이터(ITER, 국제핵융합실험로)라고 하죠. (▶7파트 참조)테라다 타쿠야(일본 대표): 그거 일본도 해요.장위안: 중국도 해요.유세윤: 한국도 해요.샘 오취리(가나 대표): 가나는 안 해요!타일러 (웃음): 미국은 해요. 러시아와 인도도 참여하죠. 이렇게 동서와 체제를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과정이고, 이 과정을 인공적으로 하려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이 필요하다(2파트 참조). 하지만 연구자들은 이런 핵융합을 우리가 평소 마주치는 환경에서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두 과학자가 전기화학 분야의 전문가들이었기에 파장은 더 컸다.이들이 사용한 방법은 일종의 전기분해였다.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똑같은 속도로 맞추면 우주 공간에 함께 정지해있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필래 착륙(1파트 참조) 때보다 오히려 쉬운 점도 있다. 소행성의 자전속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소행성을 어떤 마술을 부려 붙잡는 걸까. NASA는 소행성을 담을 가로 15m, 세로 10m짜리 대형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건설하고 있는 대형 핵융합 실험로 ‘이터(ITER)’가 따르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7파트 참조). 특히 케이스타와 이터가 도입한 초전도 전자석 토카막 방식은 현재 효율적인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하는 데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토카막은 자석을 이용해 핵융합 원료인 중수소, 삼중수소 ...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보는 ‘세이버매트리션’들은 클러치 능력을 수치화 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들었다(INSIDE 참조). 클러치 공식은 상황(타순 등)에 관계없이 평균적으로 타자가 팀에 공헌한 정도를 알 수 있다. 클러치 값의 평균은 0이다. 클러치 값이 클수록 평소보다 위기 상황에서 뛰어난 활약을 했다는 뜻이다. 값이 2.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확산되면서 만들어진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르고, 평생 거의 바뀌지 않는다(아래 참조). 그렇다면 무늬를 자동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서로 다른 무늬를 죽 모아놓고 번호만 붙이면 되니 간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만만치 않다. 야생동물이 스튜디오에서 증명사진 찍듯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