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다리 수백 개가 서로 발을 맞대고 가로 세로로 늘어선 꼴의 구조를 만들었다(왼쪽 그림 참조). 자연에서는 찾을 수 없는 구조다. 이를 양쪽에서 누르면 사방으로 다리를 벌리고 있던 사다리들이 다리를 모아 똑바로 서면서 키가 커지고, 재료 전체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시에 줄어든다. 즉 푸아송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오미자 화채, 오자죽, 메밀총떡 등도 맛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nie.re.kr)를 참조.기간_ 5월 22일(목)~6월 6일(금)장소_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내 방문자센터, 한반도숲, 서천농업생태원 일원프로그램_ 한국의 야생화 특별전약초전문가가 들려주는 우리꽃 우리약초 이야기수라간에서 찾은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미생물과 같은 생명체 가 살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10쪽 INSIDE 참조).유로파나 엔셀라두스에 우리가 지구에서 보는 동물 이나 식물과 같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 다. 존재한다면 미생물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항공우 주국(NASA)은 아직 시기가 확정되지는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추정된다.세 돌고래는 2013년 여름에 제주도 바다로 돌아갔다(2013년 7월 특집 ‘고래’ 참조).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의 김현우, 안용락 해양수산연구사는 작년 11월, 이들을 추적하기 위해 제돌이를 찾아 떠났다. 제주도 해안선을 따라 미리정한 33곳을 차로 돌다가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하면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것 같이 보였다. 연구팀은 외부 환경에 따라 9가지 ‘처방전’을 내렸다(오른쪽 그림 참조). 이론적으로는 더 많은 경우의 수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호에 실렸다.이스라엘 바이안대 나노재료공학연구소의 이도 바체레트 박사는 “생물학적인 치료과정이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알 수 있는 단적인 예였다. 대부분의 연구자는 사료 회사에서 제공하는 열량표를 참조한다. 10년 째 쥐 연구를 하고 있는 김일용 연구교수도 “한국에서 보지 못했던 기계”라고 했다. 로츠만 박사는 “회사마다 제공하는 표가 제각각이고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우리는 사료 열량을 직접 재서 실험의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양자역학은 철저하게 선형적이어서 비선형적인 카오스를 설명할 수 없다(115쪽 INSIDE 참조).과연 양자세계에 프랙탈은 있는가카오스의 프랙탈 구조도 양자역학에 큰 장애물이다. 카오스를 보이는 계는 운동 양상을 위치와 운동량으로 나타냈을 때 프랙탈 형태의 궤적을 이룬다. 프랙탈이란 무한히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나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가 바로 그런 곳이다(특집 3파트 참조). 2005년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는 엔셀라두스 남극에서 어떤 물질이 분출되는 사진을 보내왔고, 이온중성질량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분출물의 90%가 수증기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여기에는 이산화탄소와 ... ...
- Part 2. 상상 속 건물을 마음대로 짓는 비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1500장 이상을 공중을 나는 로봇이 하나씩 옮겨서 원통형 벽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동영상 참조). 연구팀은 이 기술이 발전해서 벽돌보다 큰 모듈도 헬리콥터 같은 로봇으로 작업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새로운 진실을 찾아나가는 건축파라메트릭 디자인이 건축 설계에 미친 영향은 마치 인터넷과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같은 화산은 불과 5000년 전에도 활동했다. 지질학의 세계에서는 매우 최근이다(파트2 참조). 만일 현재의 힘이 계속 된다면 동해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먼 미래의 일이지만 일본은 다시 한반도 쪽으로 밀려오면서 결국에는 충돌할 수도 있다. 수천만 년 뒤의 일인데, 그때 양국의 후손들은 다투지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