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TBM이 단단한 암반을 파내는 힘은 머리에 해당하는 ‘커터헤드’에서 온다(위 그림 참조). 동그란 피자 칼처럼 생긴 날카로운 커터들이 달린 커터헤드가 1분에 약 2번씩 회전하면서 지반을 파낸다. 장수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는 “커터뿐만 아니라 연약한 토사를 긁어내는 삽도 함께 배열해 두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재료가 갖지 못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자기 복구 능력이다(37쪽 박스 참조). 균사체 덕분에 버섯® 재료는 금이 가거나 부서져도 스스로 다시 달라붙는다.이제까지 베이어와 매킨타이어는 이 재료를 제품의 포장 용기나, 무거운 가전제품과 가구를 나를 때 쓰는 완충제로 만들어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기준 ‘직비원아목(오모미드)’과 ‘곡비원아목(아다피스)’이다(자세한 내용은 61쪽 참조).북아메리카에서 오모미드와 아다피스는 금세 플레시아다피스를 대신해 나무 위를 점령하고 유럽까지 진출했다. 이 때(에오세)만 해도 지구는 신생대 중에서도 가장 따뜻한 때였다. 북아메리카에는 지금의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면,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 구름처럼 뿌옇게 흩어져 있다(138쪽 슈뢰딩거의 모형 참조).하지만, 이런 확률적 해석에 대해서는 치열한 논쟁이 뒤따른다. 이 논쟁의 승자는 보어를 중심으로 한 행렬역학 주창자들이었다. 이들의 해석을 코펜하겐 해석이라 부르는데, 코펜하겐은 바로 보어가 머물면서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식물처럼 ‘뿌리’를 박고 양분을 빨아먹는 ‘오세닥스’다(7월호 특집 ‘고래’ 5파트 참조). 고래뼈 외에는 바다로 흘러들어온 나무토막에 유일하게 살아, 목조 배가 난파됐을 때 분해를 하는 역할도 한다. 그런데 남극의 오세닥스는 나무토막을 전혀 분해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 지역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실린 정광훈 미국 MIT 교수의 ‘투명뇌’ 기술(7월호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참조), 그리고 소수지만 광유전학(1파트 참조) 기술 등이 뇌지도를 그리기 위해 경합하고 있다.시냅스를 연구하는 기술과, 뇌의 전체적인 ‘영역’과 기능 변화를 보는 기술은 전혀 다르다. 김진현 연구원은 ... ...
- 과학강국 스위스의 과학외교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태양에너지로 달리는 배나 비행기도 만들었어요(2012년 12월 15일자 어린이과학동아 특집 참조).과학기술 강국이 되기 위해 어린이들이 무엇을 해야 할까요?선생님이나 부모님이 정해 준 것이 아니라 자기가 진정 원하는 꿈을 꿔야 해요. 만약 과학자나 기술자가 되고 싶다면 그 꿈을 포기하지 말고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셈인데, 또 하나의 뇌지도라고 볼 수 있다(과학동아 2012년 3월호 특집 ‘인공뇌’ 참조). 단순히 신경세포의 연결만 기계적으로 모사하는 게 아니라 시냅스가 구성되는 방식,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한 신호 전달 체계까지 정교하게 모사하는 게 목표다.뇌는 개인마다 구체적인 모양이나 특성이 다르다.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밀가루 반죽에 점성과 탄력성을 준다.자세한 설명은 6월호 ‘쿡! 쿡! 맛있는 과학’ 참조.편평한 조리대에 강력분 또는 세몰리나 200g을 수북이 쌓고 가운데를 그릇처럼 오목하게 팠어요. 그리고 물과 소금을 넣었어요. 재료를 흩트리거나 모으면서 대강 섞은 뒤 손으로 반죽을 시작해요. 빵을 만들 ... ...
- 해양학 - 잘 살아, 제돌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민단체의 의견이 있어 지난해 방류가 결정됐다(과학동아 7월호특집 ‘고래’ 1, 2파트 참조).서울대공원은 제돌이를 공연에서 빼고 1년 가까이 먹이 사냥과 같은 야생 적응훈련을 시킨 뒤 올해 5월 제주도 성산항에 마련한 임시 가두리로 옮겼다. 제돌이는 다른 남방큰돌고래 두 마리(춘삼, D-38)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