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려
자극
지우개
선동
고취
유발
브레이크고무
뉴스
"
고무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로보틱스’ 22일자에 발표했다. 오 교수팀은 기존의 딱딱한 금속성 로봇 대신 천이나
고무
등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하는 ‘소프트로봇’을 만들기 위해 이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소프트로봇을 움직이는 기술로 형상기억합금 등 환경에 따라 움직임이나 형태가 변화하는 소재를 이용하는 ... ...
韓美연구팀, 휘어지고 늘어나도 성능 안 떨어지는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이용해 폴리우레탄과 금 나노입자를 혼합했다. 이를 통해 금속처럼 전기가 통하면서
고무
줄처럼 늘어나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또 개발한 전극을 번갈아 쌓아 올려 전극의 표면뿐 아니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수직방향으로 전기가 흐르도록 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전극을 리튬 이차전지에 ... ...
태양계 밖 '뜨거운 목성' 자기장 목성보다 훨씬 강해
연합뉴스
l
2019.07.23
것인지 짐작할 수 있다. 컬리 박사는 이와 관련, "자기장은 저에너지 상태로 있다가
고무
줄처럼 꼬이거나 잡아당기면 에너지가 증가한다"면서 별 가까이에서 궤도를 도는 뜨거운 목성의 자기장은 별의 자기장을 꼬이게 하거나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때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채층을 가열해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실패 두려워하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2019.07.20
등 실력과 열정을 겸비한 젊은 우주 분야 인력들이 최근 크게 늘고 있는 점은
고무
적”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는 청중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당부의 말도 남겼다. 그는 “스페이스 X의 재사용 발사체도 3번을 실패한 뒤 4번째에 성공했다”며 “3번 실패하고 포기했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없다. 결국 스니커즈라고 부르는, 밑창이 러닝화의 절반 두께로 얇으면서 꽤 딱딱한(경화
고무
재질이라고 한다) 운동화를 샀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스니커즈를 즐겨 신지만 필자는 한 번도 신어본 적이 없다. 디자인이 단순미가 있고 가벼운 것 같지만 왠지 부실해 보여 발 건강에는 좋지 않을 것 ... ...
늘었다줄었다 ‘
고무
줄 체중’ 심할수록 사망위험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체중 변동이 클수록 사망위험률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체중이
고무
줄처럼 늘었다 줄었다하는 폭이 클수록 사망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40세 이상 성인 남녀 26만 4480명을의 데이터를 이용해 사망위험을 분석한 ... ...
사람 40배 힘내는 '무쇠 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반응하는 재료를 덧씌어 한 줄의 끈처럼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 끈을 다시
고무
동력기
고무
줄처럼 배배 꼬아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인공근육 섬유는 외부 자극을 받으면 줄을 감싼 겉면이 수축했다가 늘어나는 방식으로 사람의 근육처럼 힘을 낸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근육은 시중에서 쉽게 ... ...
예쁘게 목욕하는 고양이
팝뉴스
l
2019.07.10
되었다. 이렇게 얌전하게 목욕하는 고양이는 많지 않다고 네티즌들은 말한다. 또 머리에
고무
오리까지 얹었는데도 가만히 있는 게 놀랍다는 반응이 많다. 고양이는 ‘행복하게 목욕하는 고양이’, ‘예쁘게 목욕하는 고양이’ 등으로 불리면서 인기 몰이를 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물체를 누른다고 해보자. 아래로 납작해지면서 옆으로 볼록 튀어나올 것이다.
고무
도, 찰흙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철이나 콘크리트도 다 이런 현상을 보인다. 반대는 어떨까. 누르면 홀쭉해지고 당기면 두꺼워지는 마법 같은 물질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학주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장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성공했다. 재충전을 하지 않고 37시간 동안 헤엄친다. 소프트 로봇은 주로 실리콘이나
고무
처럼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든다. 형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 사람의 힘이 닿지 않는 재난 구조 현장이나 수중 탐색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모은다. 이런 환경에서 활용하려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