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려
자극
지우개
선동
고취
유발
브레이크고무
뉴스
"
고무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충훈 위원·이근백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LG화학 연구위원(왼쪽)과 이근백 케이팩코리아 대표이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고무
와 같은 탄성을 가진 친환경 소재인 엘라스토머 제품의 상업화를 이끈 이충훈 LG화학 연구위원과 한국 산업환경에 적합한 수처리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한 이근백 케이팩코리아 대표이사가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20
고정시킨 뒤, 테이프 아래쪽 랩을 잘라낸다. ⑤ 두꺼운 종이의 튀어나온 부분에 발사대의
고무
줄을 걸고 하늘로 날린다. ● 어떻게 된 걸까? → 결과 : 비행기가 빠르게 회전하며 하늘을 유유히 난다. 회전하며 나아가는 컵의 위쪽에 부딪히는 공기는 컵과 회전방향이 같기 때문에 공기가 ... ...
잡아당기면 오히려 두꺼워지는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건 처음이다. 이번에 개발된 물질은 분자 구조에서부터 팽창물질 특성을 가졌다.
고무
처럼 늘어나는 특징을 가진 액정 탄성중합체의 특성을 연구하던 중 이 물질을 발견했다.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특성을 모두 보이는 물질로 휴대전화나 TV의 디스플레이 재료로 쓰인다. 연구진은 액정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주면 마치 실제 자기 손가락이 만져진 것처럼 인식을 한다”며 “아직 연구 단계이지만
고무
적인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Scene 3 “내 팔과 다리 속에 총 66개의 전도체가 심어져 있어요” - 이수연의 웨어러블 장치는 한여름을 만나면서 오작동이 발생해 팔에 자석처럼 물건이 붙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한 실험이지만 학술지 ‘네이처 의학’ 8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결과는 꽤
고무
적이다. 생후 20개월인 생쥐(사람으로 치면 60대에 해당)를 둘로 나눠 한쪽에만 격주로 4개월 동안 ‘D+Q’를 투여했다. 이 정도 나이이면 몸속에 노화 세포가 쌓이기 시작했을 것이기 때문에 세놀리틱이 이를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21
낸 다음, 다른 빨대에 끼운다. ② 두 빨대를 연결한 부분으로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고무
찰흙으로 잘 막아준다. ③높은 곳에 있는 컵에 물을 채우고 빨대의 한쪽을 담근다. 반대쪽에서 입으로 물을 살짝 빨아들여 빨대를 물로 채운 후 낮은 곳에 있는 컵에 놓아 보자. ● 어떻게 된 걸까?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
2018.11.16
할 수 있습니다. 또 고양이 특유의 네 다리를 접어 식빵 굽는 자세를 취하기도 합니다.
고무
발과 충격 흡수 관절을 도입해 약간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도 부서지지 않고 부드럽게 착지하는 유연성도 지녔습니다. 니블은 무엇으로 움직일까? 니블은 일종의 DIY 키트로 구성됐습니다. 주어진 키트를 ... ...
래프팅하는 개구리들
팝뉴스
l
2018.11.16
편안하게 힘도 들이지 않고 떠다닌다. 마치
고무
보트를 탄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저 ‘
고무
보트’가 무엇일까. 개구리들에게 휴식을 준 부유물체가 무엇인지 해외 네티즌들이 추리하느라 번잡하다. 모양은 멧돼지를 닮았다. 그런데 개구리와 크기를 비교하면 너무 작다. 많은 네티즌들이 ... ...
中, 핵융합 잰걸음…상용화 관건 ‘플라스마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윤시우 핵융합연 KSTAR 연구센터장은 “인위적으로 1억 도 가열에 성공했다는 점에서는
고무
적이지만, 고온의 전자는 핵융합 반응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이온의 온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전자의 온도는 오히려 낮을 때 핵융합 반응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도달 ... ...
‘HD촉감’으로 가상현실 더 실감나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한다. 최승문, 조민수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전석희 경희대 교수팀은 묵이나
고무
공처럼 누르면 들어갔다 다시 회복되는 물체(탄성체)나 흙처럼 누르면 부서지는 물체(소성체)의 특성을 정교하게 측정한 뒤 자료화해 이를 컴퓨터 모델로 만들었다. 현재는 탄성과 온도감, 거칠고 부드러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