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근
이웃
주변
근방
인접물
인접지
뉴스
"
부근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시대' 도시가 바뀐다...'분산화·개인화'로 감염 확산 낮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발생한 이유를 찾기 위해 환자가 발생한 위치를 지도에 그려넣다가 대다수 환자가 우물
부근
에 산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스노우는 콜레라가 수인성 감염병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감염원인 우물을 폐쇄해 런던의 콜레라 사태를 해결했다. 영국 정부는 이를 통해 위생의 중요성을 깨닫고 하수도에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이용해 다양한 감각 신호가 들어가는 후뇌 부완핵의 신경세포를 연구했다. 후뇌는 목
부근
의 뇌 부위다. 부완핵은 맛 과 통증, 온도 등의 감각 정보가 거쳐 간다고 최근 속속 밝혀지고 있어 최근 주목 받는 부위다. 그런데 우연히 이 영역을 자극한 쥐들이 물을 먹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물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가장 상세한 모습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먼 지역 두 곳에서 모두 여섯 개 지점의 상대적인 속도를 분석한 결과, 시작 지점
부근
에서 꼬이듯 분출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도 새롭게 발견했다(아래 그림). 제트는 원래 강착원반이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으로 분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연구팀은 이번 관측 결과 제트가 시작 지점에서는 ... ...
불이 났지만 행복한 소년
팝뉴스
l
2020.03.23
모여 들어서 구경도 하고 불도 끈다. 그런데 한 아이의 반응이 놀랍다. 아이는
부근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면서 인생을 즐기고 있다. 소년은 차가운 무관심의 상징이 되었다. 세상에 어떤 일이 일어나든지 나만 아니면 괜찮다는 식이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인데, 긍정적인 ... ...
"데이터는 정확히 알고 있다. 바이러스가 어디서 왔는지"…오픈데이터로 코로나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지역감염을 일으켰다. 흥미롭게도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간 바이러스도 하나 워싱턴주
부근
에 보인다. 하지만 이 바이러스는 이미 지역감염이 일어난 뒤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게놈을 이용한 게놈역학은 정밀한 데이터로 감염병 확산 경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WHO·학교 가이드라인 공개…"위생교육·학교청결 강화하고 원격수업 통해 교육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공항
부근
의 학교 스포츠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대비한 병상이 마련돼 있다. AP/연합뉴스 제공 여러 나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휴교령을 내리고 있는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유니세프가 공동으로 어린이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상당수는 해당 모낭에서 만든 마지막 검은 머리카락이란 말이다. 특히 정수리
부근
에서 새로 날 것들은 거의 흰 머리카락일 것이다. 앞으로 주변에 떨어진 검은 머리카락을 볼 때 예전처럼 무심코 집어 휴지통에 버릴 것 같지는 않다. 털이 세는 건 모낭돌출부에 연결된 교감신경(sympathetic ... ...
"슈퍼전파자 출현 원인 규명 어려워"…조기 격리치료만이 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공항
부근
의 학교 스포츠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대비한 병상이 마련돼 있다. AP/연합뉴스 제공 이달 11일 국내에서 28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했다. 30세 중국인 여성인 이 환자는 지난달 26일 확진됐던 3번 환자의 지인으로 알려졌다. 이 3번 환자는 함께 식사했던 지인(6번 ... ...
추위가 실종된 겨울은 '지구온난화'의 극단적 결과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날이 많았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포근한 겨울의 원인으로 12월 중순 이후 시베리아
부근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북쪽 찬 공기를 몰고 오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도 내외로 높아 한반도 남동쪽에 따뜻하고 습한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왔다. 대멸종의 원인으로는 소행성 충돌이 지목된다. 66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
부근
바다에 떨어지며 지름 200㎞의 ‘칙술루브’ 충돌구를 만든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미국 텍사스대를 비롯한 국제 대륙 과학 시추 프로그램(ICDP) 연구진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