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근
이웃
주변
근방
인접물
인접지
뉴스
"
부근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가들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사업 포항지진과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탐사를 했다. 또 탐사공을 뚫어 지하 구조를 조사했다. 신 단장은 “그 결과 해저면
부근
까지 발달한 단층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며 “수 m 정도 두께의 사암 및 역암 층들이 여러 매 누적되고, 대부분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 주입이 가능한 심도에 분포하고 있어 소규모이산화탄소 ... ...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밝혔다. 신영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CO2지중저장연구단장도 “해저면
부근
까지 발달한 단층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며 “이산화탄소 저장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곳으로 본다”고 밝혔다 ... ...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고치… 지구 온난화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엘니뇨 현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의 수온이 올라가는 현상이다. 일각에서는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북극해 입구 인근 지역인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의 기온이 29도까지 치솟았다. 이는 평년 기온 섭씨 ... ...
영화 속 그곳, 빛과 얼음의 땅 북극
연합뉴스
l
2019.05.14
영화 '아틱'의 스틸컷. 콘텐츠판다 제공 이는 남극도 마찬가지인데, 적도부터 북위 80도
부근
까지 육지가 이어져 있는 북반구와 달리 바다가 대부분인 남반구는 북반구처럼 삼림한계나 평균기온 등으로 남극을 정의할 수가 없다. 이에 비해 북위 90도인 북극점과 남위 90도인 남극점의 위치는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목성의 조석력이 강해져 지구의 내부를 휘저어 놓는다. 추진기 설치가 끝나면, 먼저 적도
부근
의 추진기를 이용해 지구의 자전을 멈춥니다. 지구가 계속 돌아가는 상태라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어렵겠죠. 추진기가 원하는 방향에 왔을 때만 작동시켜야 하니까요. 지구의 회전에 타이밍을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실제로 핼리 만에 살던 황제펭귄 가운데 사라진 절반을 제외하고 나머지 절반은
부근
의 다른 서식지로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쌍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 ...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로 주목받는 문화재 방재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대성당에서 불이 나 첨탑이 소실되는 등 큰 손상을 입었다. 한국에서도 강원도 산불로
부근
의 크고작은 문화재가 위협을 받았다. 중요한 문화재를 화재에서 구할 기술과 복원 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문화재는 화재 등 재난에 대한 대응보다 예방이 훨씬 ... ...
면역질환 유발 단백질 알고보니 DNA 복구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작용을 하는지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결과 DNA가 손상되면 펠리노1 단백질이 손상
부근
으로 이동하고 DNA를 복구하는 ‘ATM-MRN’이라는 단백질 복합체가 펠리노1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펠리노1이 활성화시킨 ATM-MRN 단백질 복합체를 통해 손상된 DNA가 복구된다는 사실을 ... ...
"다시 깨어나는 활화산 백두산 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쏟아냈던 것으로 밝혀져 있다. 최근에도 활동이 일어나고 있어, 2002~2005년 사이에는 천지
부근
에서 화산지진이 3000여 회 일어나고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화산분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윤수 포스텍 교수와 손영광 경상대 교수가 백두산 화산재해의 과학적 연구 방안과 남북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까닭에 '알파인 버터플라이(Alpine butterfly)' 라고 불리는 붉은점모시나비는 바람 찬 정상
부근
의 넓고 푸른 들판이 자기가 사는 곳이다. 그런데 들판 너머가 궁금했는지, 지금 사는 곳이 답답하게 느껴져 좀 더 큰 세상과 만나고 싶었는지 하늘에 길을 만들어 이동을 했다. 강원도 삼척 추동리에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