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좌우"(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
- 왜 어린이 신종 코로나 환자는 의외로 적을까 동아사이언스 l2020.02.06
- 평균과는 다른 개념이다. 평균은 분포의 중심을 파악할 때 유용한 지표로 분포가 좌우대칭이 아닌 경우 상용하기 적절치 않다. 예를 들어 나이가 어린 환자들이 많아 분포가 좌측으로 퍼진 경우 실제 나이가 어린 환자들이 많음에도 불구 나이가 많은 환자들로 인해 환자들의 평균 연령이 올라가게 ... ...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동아사이언스 l2020.01.26
- 제공 초록색의 고세균이 좌우 아래 세 갈래로 나뭇가지처럼 길게 뻗어 있다. 표면엔 오돌토돌 돌기가 형성된 모습도 보인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2년간의 노력 끝에 수심 2533m 해저에서 채취한 아스가르드 고세균의 모습을 23일표지로 실었다. 생명체는 크게 진핵생물과 세균, 고세균으로 ... ...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 진화할 때는 절치, 즉 앞니가 3 개였고 소구치는 4 개였다. 총 44개다. 치아는 상하좌우가 비슷하므로 앞니만 총 12개다. 하지만 지금 거울을 보면 앞니는 8개뿐이다. 영장류로 진화하면서 세 번째 절치가 사라졌다. 그리고 여우원숭이 등의 원원류나 신세계원숭이는 첫 번째 소구치(앞어금니)가 ... ...
-
- (영상+)달걀 집고 물 따르는 로봇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0.01.22
- 첫마디와 둘째 마디에 1개가 들어갔다. 손바닥과 연결되는 셋째 마디에는 손가락을 좌우와 위아래로 까딱하기 위해 2개가 들어갔다. 모터는 12개가 쓰였는데, 셋째 마디를 움직이는 데 2개, 둘째 마디에 1개가 쓰였다. 둘째 마디를 움직이는 모터가 첫째 마디까지 움직이게 하는데 관절이 첫 마디의 ...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1.17
- 주변으로 띠 모양 영역은 '위장'을 나타낸다. 그 하단은 '십이지장', 십이지장 아래에는 좌우 홍채에 따라 '결장'과 '직장', 또는 '췌장'과 '충수' 등의 상태를 보여준다. 동공의 위쪽으로 10시방향부터 2시방향까지 영역은 뇌를 뜻한다. 왼쪽 홍채 기준으로 10시방향부터 차례대로 '눈'과 '코', '관자놀이', ... ...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동아사이언스 l2020.01.07
- 환경 정책 등 분야에서 57개 주요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는 특히 국가 정책을 좌우하는 리더들이 기후변화에 적대적이기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호주의 리더들은 이 전례 없는 국가적 위기에서 나라를 수호하는 게 아니라 주요 정당의 정치적 후원자인 화석연료 산업을 ...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없었다. 아마 여러 요인이 같이 작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단지 식이에 의해 전적으로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침팬지는 가끔 고기를 먹지만, 기본적으로 초식동물이다. 아마 인류의 조상도 그랬을 것이다. 큰 뇌와 육식은 공진화했는데, 육식은 양질의 에너지원이었지만 사냥을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2020.01.03
- 직시하고, 장미빛 희망이 아니라 냉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특히 정치적 변동에 의해 좌우되는 과학기술정책이 아니라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방법을 통해 정책의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근거기반정책은 과학계에 가장 어울리는 정책 패러다임이다. 국가의 과학기술정책을 결정하는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가운데 두 명의 뇌에 후각망울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후각망울은 뇌의 한 조직으로 좌우 한 쌍이 존재하고 사람의 경우 야생 블루베리만한 크기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쉽게 볼 수 있다. 후각망울 주변 뇌의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로 왼쪽 위는 비교군인 정상인으로 후각망울 한 쌍 ... ...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동아사이언스 l2019.12.29
- 생겼다. 습지 주변의 진흙 위를 뒤뚱뒤뚱거리며 걷다가 먹이가 나타나면 부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잡아 먹는다. 여름에는 러시아 시베리아와 미국 알래스카 등에서 알을 낳고 봄과 가을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머문다. 한 해 동안 비행하는 거리만 8000km가 넘는다. 문제는 이 여정 동안 목숨을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