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뉴스
"
좌우
"(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극·음극' 나뉠 수 있는 독특한 금속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데 성공했다. SRO는 하나의 루테늄과 스트론튬, 산소 원자가 성냥갑 모양처럼 상하
좌우
축의 길이는 다 다르지만 모든 축이 90도 각도로 만나는 규칙적인 입체 결정 구조(사방정계)를 이루는 물질이다. 이 상태에서는 극성이 없다. 하지만 연구팀이 누르는 힘(압축 응력)을 가한 뒤 응력을 ... ...
데이터 중복사용 의혹 서울대 자체 조사 착수 "일부 실수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이미지가 뒤바뀌어 혼란을 키운 이미지가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이 이미지 둘은
좌우
가 각각 매우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연구팀은 확대해 노출을 길게 주면 세부가 다른 모습이 보인다며 다른 이미지라고 밝혔다. 펍피어 화면 캡쳐 나머지 데이터는 매우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다른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도 김정환 교수는 해당 논문에 포함된 웨스턴블롯 데이터 중 1개의
좌우
가 바뀌어있는 것은 아닌지를 지적하는 내용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침투와 증식을 시작하게 하는 핵심 과정이다 보니, 과학자들은 이 과정의 성공을
좌우
할 결합능력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이 부위에서 변이가 나타나 결합 능력에 변화를 일으키면 지금보다 더 강한 바이러스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아직 스파이크 단백질을 포함해 크게 위협적인 ... ...
[인간 행동의 진화] '멍 때리기', 진짜 정보를 취하는 과정
2020.10.04
회피가 아니라 취할 해파리와 버릴 해파리를 구분하는 적극적인 내적 과정이다. 삶을
좌우
하는 어려운 결정일수록 이러한 내적 과정이 아주 중요하다. 멍때리기의 시간도 길어진다. 정보는 사실상 무한히 얻을 수 있지만 어느 순간 유입 정보를 차단하고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를 심산유곡 ... ...
온 가족 함께하는 추석맞이 ‘집콕 운동’
동아일보
l
2020.09.29
[2] 두 손으로 물병 하나를 쥐고 머리 위에 들어올린다. [3]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체를
좌우
로 천천히 움직인다. ○ 무릎 운동(다리 안쪽 근육 이완) [1] 먼저 의자에 바르게 앉는다. [2] 발 사이에 물병을 끼워 넣는다. [3] 그 상태로 의자 높이까지 무릎을 펴고 굽히기를 반복한다. ... ...
28일부터 '추석 특별방역 기간'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향후 2주간 방역 관리가 올해 하반기 코로나19의 유행 수준을
좌우
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소규모 집단감염이 발견되는 데다 감염 경로를 알지 못하는 환자 비중도 25%에 육박해 확진자 규모는 언제든 다시 커질 수 있다는 ... ...
상온 노출 독감 백신 접종 407건 확인, 부작용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합성해 제조한 백신으로 바이러스의 감염 우려가 적다. 연구진은 독감 백신의 성능을
좌우
하는 HA 성분의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했지만, 통계적으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2017년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진은 주사기 형태가 아닌 피부에 붙이는 패치형 인플루엔자 ... ...
"종이상자 배송" 독감백신, 상온서 얼마나 노출됐나가 품질 관건(종합2보)
연합뉴스
l
2020.09.23
시간과 정도를 조사할 방침이다. 얼마나 오랫동안 상온에 노출됐는지가 백신의 효능을
좌우
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당장 원칙에 어긋나게 보관, 배송됐다면 효능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부작용보다는 '물백신'이 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임 회장은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후이’라는 학명으로 패충류의 일종이다. 패충류는 몸길이는 0.5mm 정도에 불과하고 몸
좌우
에 1장씩 두 장의 껍데기를 달고 있다. 물벼룩이 조개껍데기를 단 모양을 연상시킨다. 지구에 약 5억 년 전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도 약 8000여 종이 바다와 호수, 강 등 곳곳에 서식하고 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