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스페셜
"
공부
"(으)로 총 445건 검색되었습니다.
北김일성대, 유엔 제재 피해 伊연구소와 신경과학 교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물리학자이기도 한 스테파니 루포 SISSA 학장은 “학생들이 본교의 인지신경과학부에서
공부
하도록 도울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북한 과학계는 이번 협정이 정치적인 것과 전혀 연관이 없음을 명확히 했다. 박학철 김일성대 물리학과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김일성대는 신경과학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거, 그거는 별로야" 두 번째 교육을 한 날 저녁을 먹으며 아이에게 물었다. 코딩
공부
재밌냐고. 아이는 답했다. “엔트리는 재밌는 것 같다”라고. 다만 “근데, 초코 잼 바르는 거, 그거 쓰는 거는 별로야”라는 말도 빠트리지 않았다. 대놓고 투덜대지 않지만 감정은 이미 어투에 충분히 묻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위해 중국 장쑤성 롄윈강(연운항)항구에 대기중인 모습. 연합뉴스 우리가 화학을
공부
하는 한 세상에는 주기율표가 존재할 것이다. - 존 엠슬리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를 만든 지 150년이 되는 2019년은 유엔이 정한 ‘국제 주기율표의 해’다. 주간 과학저널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쓰는 세 가지 전략
2019.01.26
응원을 부탁한다. E. 즐거운 요소를 추가: 음악을 들으면서 달린다. 초콜렛을 먹으며
공부
한다. 2. 주의 조절 : 지금 하고 있는 일과 그 과정에 온전히 주의를 쏟거나, 반대로 딴 생각을 함으로써 지루함을 떨쳐낸다. 예를 들어 운동하는 중에 이따 무엇을 먹을지 생각하는 것이 있다. 3. 생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인생이 풀린 대표적인 과학자다. 1930년생인 밀러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화학을
공부
하고 1951년 시카고대의 저명한 화학자 해럴드 유리(Harold Urey) 교수 실험실에 들어갔다. 대학원 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어느 날 유리 교수가 강의에서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가 만들어지려면 지구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아닌지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 예컨데 진지하게
공부
를 하려다가도 누군가가 “
공부
좀 해!!”라고 하면 급 때려치고 싶어지는 것이 우리다. 또 매일 집 옆에서 시끄럽게 공을 차는 아이들에게 어느 날 “500원을 줄 테니 공을 차렴”이라고 했더니 겨우 500원 받으려고 공을 차다니 미쳤냐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악영향을 미침을 밝혀냈다. 당시 선생님 가르침대로 엄청난 의지로 잠을 줄여가며
공부
를 했는데 현대 과학은 “그래서 당신 학력고사(오늘날 수능에 해당) 성적이 안 나온 것”이라고 말하고 있으니 얼마나 황당한 노릇인가.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오늘날 선생님들은 고3이 된 학생들에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암스트롱의 앨범 ‘Ella and Louis Again’에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가 수록돼 있다. 영어
공부
에 지쳤을 때 이 노래를 들으면 기분전환이 될 것이다. - Verve 제공 법적으로는 채소 사설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게놈편집기술을 이용해 야생 토마토와 식용꽈리를 작물화한 연구결과를 보고한 논문 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90분 주기에서 활동 기간에는 열심히 일하거나
공부
하다 휴식 기간으로 들어섰다는 신호가 오면(몸이 느낄 것이다) 잠깐 쉬어주는 게 시간이 아깝다며 세 시간 네 시간 계속 붙잡고 있는 것보다 몸에도 좋고 성과도 좋을 것이기 때문이다. 1953년 렘수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인문학적 빅퀘스천’과 다른 점 아닐까. 학부에서 화학을, 대학원에서 분자생물학을
공부
한 필자는 세 가지 빅퀘스천에 늘 관심을 두고 있다. ‘무생물에서 어떻게 생물이 나왔나’, ‘원핵생물에서 어떻게 진핵생물이 나왔나’, ‘단세포생물에서 어떻게 다세포생물이 나왔나’이다. 물론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