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병원체"(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2019.12.28
- 그리고 호중구나 단핵구 등으로 공격하는 세포성 면역이다. 특히 병원체 종류에 따라 특이적으로 기억, 반응하는 면역을 적응 면역이라고 하는데, T세포를 사용한 세포성 면역이나 항체 등을 이용한 체액성 면역이 바로 이런 역할을 담당한다 ... ...
- 홍역 '면역 기억상실' 일으킨다동아사이언스 l2019.11.01
- 항체가 파괴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또 감염 이후 면역체계의 활동성이 떨어져 새로운 병원체에 대항해 항체를 만드는 능력이 저하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일부 아기는 이런 면역 저하 증세가 5년 넘게 이어졌다. 두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면역 기억상실이 사실로 증명된 만큼, 최대 수십만 명에 이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2019.10.01
-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는 폐포 안쪽 면에 상주하며 노폐물을 처리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잡아먹는 면역세포다. 비교군과 담배군의 폐포대식세포와는 달리 용매군과 니코틴군의 폐포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지질 덩어리가 가득 차 있었다. 전자담배 용액에 들어있는 니코틴이 아니라 용매 ...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2019.09.21
-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내성과도 관련된다. 위장관 세포에서 발현되는 ABO 항원이 병원체의 감염과 관련된다. 특히 A형과 B형 혈액은 비브리오 콜레라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아시아 지역에 흔한 병원균이다. AB형은 더욱 콜레라에 강하다. 반면에 B형은 흑사병에 취약하다. ...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 회복이 늦어지면서 생긴다는 것이다. 유전자도 영향을 미치고, 환경도 영향을 미친다. 병원체가 적은 지역에서는 면역 반응이 신경세포 및 관련 조직을 잘못 공격하여 발병률이 높아질지도 모른다. 혹은 유연한 인지적 적응이 필요한 환경, 즉 환경 변화가 격심한 지역에서 오래도록 적응한 인구 ...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2019.09.08
- 있다. 감염원이 너무 없어서 병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감염원, 즉 병원체가 없는 깨끗한 환경은 오히려 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흔히 위생 가설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에 특정한 감염원에 노출되면 오히려 다발성 경화증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너무 ... ...
-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8.27
- 밝혔다. 염증은 상처가 아무는 몸의 회복 반응으로, 염증과 관련된 면역세포(대식세포)가 병원체를 제거하고 손상부위를 재생하는 과정을 거친다. 대식세포가 상처 부위를 재생하는 과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류머티즘 등 만성 염증이 발생한다. 박 교수팀은 이렇게 재생이 일어나지 못하는 ... ...
-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23
- 교수는 “예를 들어 에볼라, 황열 바이러스는 고열을 유발하는 병원체”라며 “이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바이페린 단백질이 선천면역 기능을 통해 (체온을 낮춰) 인체를 방어하는 데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가설을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매년 50만 명 희생 ‘A군연쇄상구균’ 백신 개발 추진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31
- 기금도 확보했다. GAS는 2014 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백신 개발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꼽은 병원체다. 감염되면 처음에는 인후염을 일으키지만,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면역 체계 과민 반응을 일으켜 류머티스성 심장 질환으로 발전한다. 심장 판막이 손상되고, 시간이 지나면 심장 마비와 사망에 ... ...
-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동아사이언스 l2019.04.11
- 불활성화시킨 백신이다. 불활성화 백신은 살아 있지 않기 때문에 몸 안에 들어와도 병원체가 증식할 수 없다. 또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접종해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만큼 완벽한 예방이 어렵다. 그래서 백신을 맞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면역효과가 ... ...
이전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