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스페셜
"
병원체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불활성화시킨 백신이다. 불활성화 백신은 살아 있지 않기 때문에 몸 안에 들어와도
병원체
가 증식할 수 없다. 또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접종해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만큼 완벽한 예방이 어렵다. 그래서 백신을 맞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면역효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홍역 환자를 대상으로 이런 메커니즘이 사람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했다. ‘PLOS
병원체
’ 제공 물론 위의 경우처럼 종교적인 이유로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경우는 과학 데이터를 갖고 아무리 설득해도 사실상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 하지만 ‘자폐 연관성’처럼 이미 틀린 것으로 밝혀진 주장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건 아직까지 독감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평범하다는 것이다. 100년 전 스페인독감 때는
병원체
의 실체조차 모르고 당했지만(1930년대 전자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바이러스가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은 입자구조에 유전자에 속된 말로 독감 바이러스를 완전히 발가벗겨놨음에도 여전히 바이러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이 단백질이 항미생물 활성을 띨 것으로 추측했다. 코알라가 외래종에서 옮은
병원체
에 취약한 이유도 게놈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밝혀졌다. 호주 퀸즈랜드의 야생동물 병원의 경우 매년 1000마리가 넘는 코알라가 들어오는데, 이 가운데 40%는 클라미디아 감염 말기로 치료될 가망성이 없다. 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모든 혈액형에 쓸 수 있고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고 한다. 물론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
가 들어있을 가능성도 없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은 인공혈액이 이미 나와 있는데 왜 정작 제조국인 미국은 물론 늘 피가 부족해 쩔쩔매는 우리나라에서도 쓰지 않는 걸까. 사실 미국에서는 2000년대 초 이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하는 질환은 당연히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결과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병원체
를 찾는 데만 집중했고 항생제 투여 같은 효과 없는 치료에 매달렸다. 다음으로 면역계에 대한 굳은 믿음이 걸림돌이었다. 20세기 들어 이런 질환을 앓는 환자의 혈청에서 인체의 분자에 대한 항체가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들어간 원시 대식세포가 분화해 미세아교세포가 된다. 즉 미세아교세포는 뇌에 침투한
병원체
나 뇌세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특화된, 대식세포의 친척인 셈이다. 뇌세포의 12%를 차지해 뉴런과 숫자가 비슷한 미세아교세포 역시 오랫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평소에는 가만히 ... ...
세계적 석학과 함께하는 IBS 개원 5주년 행사
IBS
l
2016.10.31
대전 호텔 ICC 그랜드볼룸에서 약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펼쳐진다. 개회식에서는
병원체
를 인지하는 단백질인 톨 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s, TLR)를 규명해낸 공로로 201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브루스 보이틀러(Bruce Beutler) 미국 텍사스주립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교수가 기조강연을 펼칠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업적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 적응면역의 실체, 즉 항체가 항원(
병원체
)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지면서 면역은 사실상 적응면역을 의미하게 됐다. 이런 관점은 지난세기 말까지도 계속됐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메치니코프는 1882년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나왔다. 그런데 얼마 뒤 포이 교수의 아내도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 이들은 여러
병원체
에 대한 검사를 했지만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아무튼 세 사람 다 며칠 앓고 난 뒤 완쾌돼 이 일은 기억에서 점차 잊혔다. 이듬해 코빌린스키는 다시 아프리카 출장을 갔는데 우연히 텍사스대의 의학곤충학자 ... ...
이전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