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스페셜
"
재료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맛과 영양, 안전성을 신경써야 하는 것이다.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울때는 플라스틱 같은
재료
를 활용할 수 있지만 배양육은 이야기가 다르다. '씨위드'가 만드는 배양 한우육 '씨미트'은 안전성을 위해 해조류에서 추출한 천연 물질로 지지대를 삼는다. 자료 제공 에이티커니 배양육의 가장 큰 ... ...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해당하는 열에너지가 전달된다는 뜻이다. 연구에 참여한 벤자민 커닝 IBS 다차원 탄소
재료
연구단 선임연구원은 “현재 시판되는 최고 수준 방열 소재보다 효율이 약 1.5배 좋은 소재를 만들 수 있었다”며 “응용 실험에서 높은 성능을 입증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 ...
부처별 연구비 사용기준 같아지고 정액기술료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기존에 연구비 사용계획 수립시 상세내역까지 작성하던 것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재료
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했다. 또 연구비 사용계획의 경우 일부 중요사항을 제외하면 일일이 부처의 승인을 받지 않고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연구비 정산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공기 중 물 분자와 쉽게 반응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서다. 한병동
재료
연 세라믹
재료
연구본부장은 “산화마그네슘에 극소량의 첨가제를 넣는 기술을 개발해 물과 반응하지 않고 가벼운 신소재로 재탄생시켰다”며 “일본에서 생산하는 산화마그네슘 분말이나 과립보다 성능은 훨씬 ... ...
신축년 코로나19 극복의 해 될까…치료제 여기 있'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소의 태아 혈청은 지금도 줄기세포를 키우는 데 쓰이는 등 생명공학에 없어서는 안될
재료
로 사용된다. 상서로운 기운을 준다고 알려진 '흰 소의 해'인 신축년에는 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극복할 치료제를 인간에게 선사할 것이란 기대감까지 주고 있다.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막의 두께가 너무 얇아 관찰이 힘들었다. 엔리케 고메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재료
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3차원(3D)으로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지도화(매핑)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투과 전자 현미경을 통해 수 nm 크기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관찰했다. ... ...
[랩큐멘터리]21세기 신 철기시대 이끄는 철강
재료
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 교수는 “화려하지는 않으나 기본에 충실한 결과를 내는 철강
재료
를 닮아가는 연구자들이 연구실을 채우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텍 계산야금연구실 보러가기 https://youtu.be/7_AguUbvV8I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성장기술과 융합해 대면적의 그래핀 웨이퍼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웨이퍼는 반도체의
재료
가 되는 얇은 원판이다. 8인치 기판 상에서 균일한 전기적 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그래핀 웨이퍼 제작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병훈 교수와 연구원들. 홍덕선 제공 이 교수는 반도체 ... ...
소변속 단백질 AI로 분석해 전립선암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만에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관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
재료
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정인갑 서울아산병원 교수 연구팀은 사람 소변에서 암 지표 단백질 4종을 검출해 95.5% 정확도로 전립선암 진단을 내리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전립선암은 한국인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연구 전문가였던 한승전 책임연구원(왼쪽 두번째)은 양자역학 전문가인 최은애
재료
연
재료
계산연구실 선임연구원(왼쪽)과 융합연구를 거쳐 초고강도 합금을 개발할 수 있었다. 한 책임연구원은 "상대 연구를 수박 겉핥기처럼 하되 단맛이 나올때까지 핥아야 한다"며 상대편을 최대한 이해하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