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스페셜
"
재료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이 과정을 담당하는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아미노산(단백질의
재료
)이 아스파르트산(D)에서 글리신(G)로 바뀌어 D614G 또는 G유형이라고 불린다. 바이러스 게놈 가운데 2만3403~2만3404번 염기서열 두 개가 바뀐 결과다. 이 유형은 너무 광범위하게 퍼져서 이후 G와 GH, GR 등 세 유형으로 ... ...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방법을 활용해 만든 열전
재료
는 기존 대비 복잡한 나노구조를 갖고 있다”며 “3배 이상의 열전도도 감소 와 함께 열전발전 성능도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에너지를 다른 곳에 전달하는 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재료
를 결합해 인체 표면에 부착하거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소자를 만들기도 하고, 전자제품의 성능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기술은 밀폐된 공간의 열을 다른 곳으로 전달하는 ... ...
3D 프린터로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 출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및 의료기기 기업인 에드믹바이오 하동헌 박사가 함께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스(Biomaterials)’ 2021년 1월호 게재가 확정됐다. 바이오 잉크를 넣어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를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채수훈 ... ...
‘뇌전증 치료제’·닥터앤서 등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주도한 반도체 공정에서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나노계측 기술 개발과 최철진
재료
연구소 책임연구원이 수행한 비희토류계 영구자석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이 선정됐다. 생명·해양 분야에서는 SK바이오팜 외에 콜레스테롤 대사이상이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을 규명한 류제황 전남대 교수의 ... ...
한국형 경항모 핵심 비행갑판 설계기술 개발 착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이착함 시뮬레이션 기술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비행갑판 유동분포 해석 기술을, 한국
재료
연구원이 비행갑판의 코팅재 배치 최적화 및 열해석 기술을, 부산대가 비행갑판·격납고 화재와 함재기 충돌 해석 기술을 각각 주관해 개발한다. 박상진 기계연 원장은 “이번 과제를 통해 획득한 기술을 ... ...
[과학자의 서재]케임브리지대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생각' 던진 책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연구 방법론을 개방적으로 바꾸는 과학자의 사례가 많았다”고 말했다. 폴 콕슨
재료
및 금속공학부 교수는 미국의 동화작가 얀 월의 ‘SOS 보보모빌레’ 속 소년 영웅에 매료됐다. 책 속 주인공은 무모할 정도로 다양한 발명을 하는 친구다. 과거부터 책 속 주인공을 따라하던 콕슨 교수는 ... ...
코로나19 폐기물 플라스틱으로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인도 석유및에너지연구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용한 개인보호장구를 고온으로
재료
를 분해하는 열분해 공정을 사용해 재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세계 최대 출판사인 영국 테일러앤프랜시스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바이오퓨얼’ 8월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인보호장구를 ... ...
재료
硏, 효율 대폭 끌어올린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광전효율을 세계적 수준인 6% 이상으로 끌어올린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재료
연구소는 송명관 표면기술연구본부 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안철진 창원대 생물화학융합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전효율을 대폭 높인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내는 것으로 보인다. 시상하부의 경우 22도에서 일산화질소(NO)를 만드는 경로에서
재료
로 쓰이는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비롯한 몇몇 대사물질의 농도가 낮았다. 반면 일산화질소가 만들어질 때 부산물인 NADP+의 농도는 높았다. 일산화질소는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그 결과 체온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