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스페셜
"
줄기
"(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말이다. 즉 곡물이 주식이 되기 이전에도 식물의 알
줄기
, 뿌리
줄기
, 덩이
줄기
에 저장된 탄수화물(녹말)을 많이 먹었다. 게놈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사람의 게놈을 보면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5~7개인 반면 침팬지는 2개에 불과하다. 열매나 잎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은 주로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내보내라는 신호가 훨씬 커 결국 심한 설사와 구토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줄기
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유사소장상피세포배양조직(enteroid)를 써서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그런데 혈액형의 차이가 왜 이런 차이로 이어지는 걸까.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당분자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그는 "암뿐 아니라
줄기
세포 연구에도 초고심도 이미징이 필요하다"며 "척수에서
줄기
세포가 어떻게 생겨나고 없어지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신경과학과 뇌과학에도 초고심도 이미징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워싱턴대, 하워드휴즈연구소의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
줄기
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site)이 하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이 한층 힘을 얻게 됐다. - 사이언스 제공 ● 지진으로 산사태 나 댐 만들어져 학술지 ‘사이언스’ 8월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과학자들이 벌인 면역논쟁은 과학사에서 독특한 사례다. 각론은 틀린 게 많았지만 큰
줄기
에서는 둘 다 맞았기 때문이다. 즉 오늘날 용어로 설명하면 메치니코프는 선천면역을 독일 과학자들은 획득면역을 발견한 것이다.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로베르트 코흐 등장으로 미생물학을 이끄는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새의 눈에 잘 띄지 않았지만 오염으로 지의류가 죽고 검댕이(미세먼지)로 나무 기둥과
줄기
가 꺼멓게 되면서 손쉬운 먹이가 됐다는 것. 반면 변이체인 검은 나방은 눈에 안 띄어 점차 개체수가 늘어났다는 얘기다. 50여년이 지난 뒤 영국 옥스퍼드대의 유전학자 에드먼드 포드 교수는 투트의 가설을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한다. 근육은 기다란 섬유로 된 조직이기 때문에 세포 하나가 굉장히 크다. 즉 근육
줄기
세포가 분화할 때 서로 융합하면서 하나의 거대한 근육세포로 바뀌는데, 이 과정에서 세포핵은 그대로 남아있어 이런 상태가 된다. 그런데 세포핵이 한 개이거나 백 개이거나 담고 있는 게놈정보는 똑 같은데 왜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결과라고 주장하는 논문이 ‘네이처’ 1월 7일자에 실렸다. 즉 암 발생률(세로축)과
줄기
세포 분열횟수(가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분포돼 있는 여러 암 가운데 아래쪽에 있는 것들만(빨간점선)을 임의로 일어난 경우로 가정할 경우 많은 암에서 외부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90%를 넘는다.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
IBS
l
2015.12.29
RAD51 유전자와 BRCA2 유전자를 연구했다. 그는 "RAD51, BRCA2가 유전적으로 변형된 마우스 배아
줄기
세포를 이용해 이 두 유전자가 이중나선 절단 복구뿐 아니라 복제 분기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였다"며 "또 아이로니컬하게도 유전체의 안정화를 위해 DNA 복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로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분화능력이 무궁무진하여 심혈관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줄기
세포가 심혈관계 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은 인간의 심혈관계 발달을 생체 밖(in vitro)에서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건입니다. 게다가 면역거부반응을 회피할 수 있으니 치료를 위한 기초연구의 맞춤형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