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기"(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적정한 소득, 원만한 인간관계, 맛있는 음식, 초콜렛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이 모든 것을 성취해도 여전히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특히 무엇을 더 가짐으로써 행복도를 높이려는 시도는 많은 경우 별로 효과적이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2018.11.10
- 열정은 늘어난 부정적 정서와 관련을 보였다. 강박적 열정을 갖는 경우 삶이 행복해지기는 커녕 잘하려고 지나치게 애쓰며 고생하다가 불행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싸이클리스트’의 경우 강박적 열정을 보이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눈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것이 위험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2018.08.07
- 못했다. 너무 흔한 물질이라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숙신산이 ‘흙 속의 진주’로 밝혀지기를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바닥나고 혈당도 떨어지면 피로감을 느끼기 마련인데 파스타를 먹으면서 바로 채워지기 때문에 기운이 난다는 말이다. 장거리 달리기의 경우 글리코겐이 충분히 저장돼 있어야 하고, 소진되면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으로 바로 채워놓아야 한다. - 사진 GIB 제공 캔터 박사는 논문에서 “많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경향을 보였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려고 할수록 목표달성과 상관 없이 피곤해지기만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방해 요소가 많은 척박한 환경에서 혼자 처절히 싸워 성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인기를 끄는 것은 일면 다들 어느정도 자신과의 싸움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고있기 때문일지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아세트알데히드는 DNA의 염기인 구아닌(G)에 작용해 변형시키고 그 결과 이중나선이 끊어지기도 한다. 인체에는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이 있지만 알데히드의 공격이 잦을 경우 세포가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어 암이 생길 수도 있다. - ‘플로스 의학’ 제공 복구 시스템은 있지만... 학술지 ‘네이처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누군가가 ‘어떻게 그런 충격적인 일이!’라고 하면 갑자기 좀 더 안 좋은 일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반대로 호들갑 떨며 걱정하던 일이 문득 실은 별 일 아니지 않을까 생각해보면 정말 별 일 아닌 것처럼 느껴지듯 말이다. 충격적인 사건을 마주하고 슬픔이나 분노를 크게 겪지 않는 사람들은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사람들을 쉽게 좋아하려하지 않으려 하는 편이다. 상대의 단점을 찾아 관계가 더 깊어지기 전에 헤어질 구실을 찾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일례로 어차피 처음부터 이건 사랑이 아니었다며, 그녀 또는 그는 자신을 사랑한 게 아니었다고 생각하는 식이다. 이런 방어적인 행동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약점들을 부끄러워하지 않기 3) 흠결없는 완벽한 사람으로 보여지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지 않기 4) 지구가 나를 중심으로 돌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게 나 때문일리가 없다는 사실 인식하기. 기억해보자. ※ 참고문헌 Crocker, J., & Park, L. E. (2004). The Costly Pursuit of Self-Esteem.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되려 그렇게 완벽하지 않은 자신의 모습과 긍정적인 말 사이의 괴리만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현실적인 이야기들, ‘나는 멋지고 대단하며 사랑받을만한 사람이야’ 같은 거짓말을 외는 것보다 ‘어떤 인간도 완벽해질 수 없고 다들 나름의 부족함을 가지고 있으며 누구나 여러번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