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경찰들이 뛰어 오는 소리가 멀리서 들려. 이럴 때가 아냐. 일단 도망가자! 사람 많은 곳으로 들어가면 날 찾기 힘들겠지?! 스스로 척척 사람을 구별하는 스마트폰!생체 인식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센서가 인식한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아내는 거예요. 하지만 그동안의 기술로는 인식률을 ... ...
- [현장취재]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퍼지는 특징이 있어요.“귀화식물은 빠르게 퍼지는 특징 때문에 우리나라 식물들이 자랄 곳을 빼앗아요. 또 비슷한 식물끼리 번식해 잡종 식물을 만들며 토종 식물의 유전자를 교란하지요. 하지만 모든 귀화식물이 다 그런 건 아니에요. 약초나 식용식물, 또는 관상용으로 유용하게 쓰이기도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반도체 공장을 우리 기술로 세운 것처럼, IT세상을 이끌어나갈 하인슈타인은 우리나라 곳곳에서 자라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우리 친구들이 IT세상의 주인공으로 쑥쑥 성장하길 기대할게요~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매우 불편했어요. 이후 비밀번호를 눌러서 여는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돼 지금은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어요. 하지만 비밀번호를 누르는 과정에서 주변에 있던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챌 수 있다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답니다.그래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복제하기 힘들고, 특정 사람만 사용할 수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무늬가 사람마다 달라서 생체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답니다. 그러나 망막은 눈 속 깊은 곳에 있어 사진을 찍어 구별하기가 어려웠어요. 그래서 비교적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홍채가 생체 인식에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패턴을 숫자로 바꾼다!홍채 인식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는 홍채의 ...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보통 갯벌은 표면 2mm까지만 산소가 공급되지만, 서식굴로 인해 갯벌 속 깊고 넓은 곳까지 산소가 공급된다. 그 결과 많은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깊게! 더 복잡하게! 갯벌 건축왕을 뽑아라!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Part 2. 복잡하고 큰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걸어다니는 곳’이라는 뜻이지요. 도로 포장 기술이 없던 옛날엔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의 땅이 다져져서 길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두 한자가 합쳐져 길을 뜻하게 됐답니다 ... ...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수 있거든요. 게다가 스마트 자전거는 길을 안내하거나, 센서를 이용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사람이나 차가 있는지도 알려 준답니다.*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자전거 도난 경험 및 횟수 조사 방향을 알려 주는 헬멧!자전거가 위험한 이유 중 하나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언제 멈추는지 알 수 없다는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그리고 작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서식굴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어요. 우리나라 갯벌 10곳에서 사는 대표적인 생물 21종의 서식굴의 본을 뜨는 데 성공했지요.서식굴의 본을 뜨려면 우선 플라스틱을 녹여 액체로 만든 액상 수지에 플라스틱을 굳게 하는 경화제를 섞어서 서식굴에 부어요. 그 다음 굳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위에 위치한 지상 지점을 ‘진앙’이라고 한다. 진앙은 지진의 영향을 가장 빨리 받는 곳으로, 지진의 규모가 클수록 진앙의 넓이도 넓어진다.] 이번 경주 지진을 통해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어요. 내진설계는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과정을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