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만들기 위해 영하 30℃의 추위에서 50일 동안 촬영했다고 해요. 제작진들 덕분에 따뜻한 곳에서 생생한 오로라를 볼 수 있었습니다. N서울타워 헬로키티아일랜드에서 열린 헬로키티 생일 기념 파티에 다녀왔어요. 안내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전시관을 둘러보았습니다.헬로키티 역사를 한눈에 ... ...
- [과학뉴스] 18년간 바다를 감시한 로봇 홍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주변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동물이에요. 연구팀은 로봇 홍합을 전세계 70여 곳의 홍합 무리 속에 설치해, 18년 동안 10분 간격으로 로봇의 온도를 측정했어요. 로봇 홍합은 온도 변화에 실제 홍합과 똑같이 반응하기 때문에, 측정된 온도는 주변 홍합의 체온을 의미 한답니다.연구를 이끈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하루에 4~5분씩, 2~3회 정도밖에 볼 수 없고요.이에 미국 ‘통합우주운영센터’는 전세계 30곳에 있는 망원경과 레이더의 정보를 모아 2만 개의 우주물체 궤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전세계에 제공하고 있어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이를 이용해 충돌 사고를 피하지요.‘한국천문연구원’도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답니다.2016년 IISE 신종➊ 갈라파고스 거북. 갈라파고스의 외딴 곳에서 기존 무리와 갈라져 살다가 신종으로 진화했다.➋ 반짝이는 날개와 몸이 아름다운 실잠자리 신종. 아프리카에서 산다.➌ 페루에서 발견된 아주 작은 딱정벌레. 몸 크기가 작은 핀머리만 하다.➍ 새로운 ...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즉, 깡충거미도 다른 거미들처럼 감각모로 소리를 듣는 거예요.연구팀은 소리가 나는 곳과의 거리가 2m, 3m, 3.3m로 달라질 때 깡충거미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봤어요. 그 결과 80Hz의 소리를 65dB의 크기로 들려 줬을 때, 최대 3m 거리까지 들을 수 있었어요. 또한 깡충거미는 80Hz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물체에 고루 발라져야 하기 때문에 물에 녹아 용액이 돼야 해요.또한 접착제는 다양한 곳에 사용되기 때문에 구하기 쉬운 재료여야 하지요. 대표적인 재료로 전분, 송진(아래 사진), 우유나 콩의 단백질, 그리고 동물의 콜라겐 등이 있답니다. 동물의 콜라겐으로 만든 접착제와 식물인 옥수수로 만든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안을 들여다보기 어려워요. 또 한 번 생물이 들어오면 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곳과 교류하지 않은 ‘갇힌 공간’이 되기 쉽지요. 그래서 한 동굴에 사는 생물들은 독자적인 생태계를 이룰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머글편] 신비한 동물 사전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알코올램프에는 메탄올이 들어 있는데, 메탄올의 발화점은 470℃랍니다.산소가 있는 곳에서 메탄올에 470℃ 이상의 온도를 가하면 메탄올이 빛과 열을 내면서 타기 시작해요. 이런 현상을 ‘연소’라고 하지요.어떤 물질이 연소되면 새로운 물질이 생겨나게 돼요. 바로 이산화탄소와 물이랍니다.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반도체 공장을 우리 기술로 세운 것처럼, IT세상을 이끌어나갈 하인슈타인은 우리나라 곳곳에서 자라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우리 친구들이 IT세상의 주인공으로 쑥쑥 성장하길 기대할게요~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매우 불편했어요. 이후 비밀번호를 눌러서 여는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돼 지금은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어요. 하지만 비밀번호를 누르는 과정에서 주변에 있던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챌 수 있다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답니다.그래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복제하기 힘들고, 특정 사람만 사용할 수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