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번엔 해저 탐험이 기다리고 있었어요. 해양 연구소는 해양 과학자가 되어 볼 수 있는 곳으로, 잠수함처럼 꾸며져 있었지요.“바다 밑으로 내려가기 전에 친구들이 잠망경으로 바깥 상황을 점검해 주세요.”잠망경은 물속에 있는 잠수함에서 물 밖의 상황을 알기 위해 만든 기구예요. 잠망경에는 4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서해안에 위치한 서천 지역을 찾은 이유다. 이곳도 완도 못지않게 김으로 정평난 곳이다.김 양식 과정은 육지에서 씨를 뿌리고 작물을 수확하는 것과 닮았다. 지지대가 돼 줄 굴껍데기를 김발에 매달고, 그 속에 김 포자를 붙여준다. 그런 다음 영하 15~20°C의 온도로 보관해 뒀다가 늦가을부터 10~15일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력과 시설을 가진 개발도상국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베트남의 학교 네곳에서 130명의 학생을 검진해 1차 시험을 마쳤다”고 말했다.㈜힐세리온은 무겁고 비싼 초음파 기기를 대신할 휴대용 초음파 기기를 개발해 베트남, 몽골, 에티오피아 등에 보급하고 있다. 무게가 390g로 매우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 순간, 지금 여기들에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러니까 수많은 순간마다 넓은 우주 각각 곳곳이 모두 게임의 중심인 것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면 행성 이세간에서 올려다 보는 밤하늘의 수많은 별들도―별들마다 품고 있을 수많은 삶들이, 이야기들이, 내 지난 모든 퀘스트들과 마찬가지로, 결코 ...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탐험의 종착지는 지구 가장 안쪽에 있는 핵이라네. 지구 가장 깊숙한 곳으로 들어갈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설레지 않나?태양이 동쪽에서 뜨는 이유가 핵 속에 있다?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태양이 동쪽에서 뜨는 이유가 지구의 자전에 있다고 말했어요. 이후 과학자들에겐 ‘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 번 깨무는 행동은 자기 것이라는 표시를 한 거예요. 이미 확보한 먹이를 안전한 곳에 두고, 또 다른 먹이를 찾으러 가는 거랍니다.” 또 다른 수달사에서는 아기 때부터 수달연구센터에서 자라 사람을 잘 따르는 ‘인국’이가 친구들을 반갑게 맞이했어요. 연구원님의 무릎에 양발을 올려 놓으며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출처를 알 수가 없었다. 마고조차도 편지 보낸 곳을 역추적하지 못했다. 엄마는 언제나 하림을 생각하고 있지만 피치 못할 사정 때문에 만날 수 없다며, 하림이 그걸 알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매년 편지를 보낸다고 했다.‘그런데 왜 한 번도 찾아오지 않는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줄일 것이다. 여기에 VR 기술까지 접목하면, 아주 먼 곳의 일도 마치 눈 앞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뒤, 사람을 대신해 위험한 지역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로봇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 ...
- [Issue] 젊음 주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다.정맥 영양주사는 성형외과나 피부과뿐만 아니라 가정의학과나 내과 등 여러 곳에서 두루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고 컨디션을 좋게 하는 보조제일 뿐이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아니다. 그래서 일부 전문의들은 주사에 의존하는 것에 비판적이기도하다. 영양주사에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해 인간의 뼈로 명확히 조사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지만,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곳에 집닭이 살기 때문에 틀린 말은 아니다. 매년 약 400억 마리의 닭이 도축되고 약 200억 마리의 닭은 그와 관계없이 항상 사육되고 있다. 닭의 용도는 단순히 식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매년 수백만 마리의 닭이 독감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