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갔다. 4억6700만 년 전 소행성의 역사를 타임캡슐처럼 간직한 채.시간이 흘러 바다였던 곳은 육지가 됐다. 그리고 어느 날, 한 무리의 사람들이 찾아와 강변에서 돌을 골라 내기 시작했다. 4억6700만 년 동안 잠들어 있던 소행성 타임캡슐이 열리는 순간이었다. PART 1우주에서 땅 속으로…‘네이처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교수가 붙인 이름으로 장자의 ‘무하유지향’에서 따왔다.‘있는 것이란 아무 것도 없는 곳’이라는 뜻으로 세속에서 벗어난 자연 그대로의 공간을 의미한다.서울대 공대 39동 앞에 있는 이 건물은 서울대 안에서 나무로 만든 유일한 한옥 건물이다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Q 조류독감이 유행하는데 닭고기나 달걀을 먹어도 되나요?조류독감이 발생한 곳을 중심으로 500m 안에 있는 가금류와 알은 모두 살처분 돼요(500m~3km 내는 예방적 살처분). 따라서 이를 먹을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돼요.만에 하나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남아있는 고기라 해도 70℃에서 30분, 75℃에서 5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면 파란색 귀를 쫑긋 세운 것 같은 닭의장풀을 만날 수 있지요. 이 파란색 꽃 모양이 닭볏과 육수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답니다. 지역에 따라 ‘달개비’, ‘닭벼슬’이라고도 불려요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끼워 넣기 위해서 속이 비어 있는 소켓(다른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푹 들어간 곳)을 가지고 있는데, 소켓은 개개인의 몸에 맞게 주문 제작된다. 그런데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더운 날씨에는 소켓에 땀이 찰 수 있다. 소켓의 안쪽 면이 피부를 자극해서 발진이나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남아 있는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어때요? 집처럼 아늑하게 느껴지시나요?Home sweet home이곳에는 당신의 방과 화장실, 샤워실, 부엌, 도서관은 물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온실까지 갖춰져 있습니다.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냐고요? 물론이죠. 지난 2014년 네덜란드 바헤닝언대 연구팀은 화성, 달과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 순간, 지금 여기들에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러니까 수많은 순간마다 넓은 우주 각각 곳곳이 모두 게임의 중심인 것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면 행성 이세간에서 올려다 보는 밤하늘의 수많은 별들도―별들마다 품고 있을 수많은 삶들이, 이야기들이, 내 지난 모든 퀘스트들과 마찬가지로, 결코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청 신청사와 국립생태원, 이순신대교 등이 설계 과정에서 이곳을 거쳤다.‘빙글빙글’ 돌려 지진 충격 흉내 내지진을 재현하는 재난 기계는 과학기술 연구 기관이 밀집해 있는 대전광역시에 있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융합연구원에서 2014년부터 운영 중인 원심모형시험기다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력과 시설을 가진 개발도상국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베트남의 학교 네곳에서 130명의 학생을 검진해 1차 시험을 마쳤다”고 말했다.㈜힐세리온은 무겁고 비싼 초음파 기기를 대신할 휴대용 초음파 기기를 개발해 베트남, 몽골, 에티오피아 등에 보급하고 있다. 무게가 390g로 매우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산업현장으로 공간의 크기가 커지면 입자의 운동은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집니다.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모델을 만들기는 아주 어렵습니다.”어려운 과제지만 에너지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많다. 미국 에너지국(DOE)에서는 이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