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 세 기관이 2003년에 통합해 만들어졌습니다. 덩치가 큰 만큼 일본 안에서만 열여덟 곳이 있는데요. 도쿄도 쵸후시에 본사가 있고,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는 쓰쿠바 센터라는 큰 우주센터가 있습니다. 가고시마현에는 다네가시마, 우치노우라 발사장이 있고요, ISAS는 도쿄 외곽인 사가미하라시에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나는 몸이 없어도 정보들 사이로 어디든 갈 수 있지만, 그래도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 이곳은 납골당 같아.”유미의 친구들은 더 자주 찾아오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더 자주 찾아오겠다고 약속했지만 약속이 지켜지는 건 쉽지 않았다. 어딘가에서 유미는 우주를 보고 있었다. 몸을 잃어버린 유미가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늑대는 춥고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이 돼도 겨울잠을 자지 않는 동물 중 하나예요. 추위에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온동물이고, 사슴 ... 먹고 남긴 초식동물을 먹기 때문에 늑대를 피해 살아갈 수 있어요. 다만 늑대가 없는 곳에선 자칼, 여우 등과 다시 경쟁을 해야 한답니다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종이 냄새처럼 은은한 냄새를 잡기 힘들었다. 그래서 밀폐된 곳에 물건과 탄소섬유를 함께 넣어두는 ‘헤드스페이스 기술’을 사용했다. 저장한 분자는 가스크로 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장치로 걸러 정확한 성분을 분석했다.연구 결과 특히 책과 일기장에서 재미난 점을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청 신청사와 국립생태원, 이순신대교 등이 설계 과정에서 이곳을 거쳤다.‘빙글빙글’ 돌려 지진 충격 흉내 내지진을 재현하는 재난 기계는 과학기술 연구 기관이 밀집해 있는 대전광역시에 있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융합연구원에서 2014년부터 운영 중인 원심모형시험기다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산업현장으로 공간의 크기가 커지면 입자의 운동은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집니다.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모델을 만들기는 아주 어렵습니다.”어려운 과제지만 에너지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많다. 미국 에너지국(DOE)에서는 이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목표는 ‘연구’잖아요. 제가 다녔던 프린스턴은 어느 대학원보다도 그 부분을 강조하는 곳이에요. 제가 다닐 때까지만 해도 대학원 과목에 기본과목이 없었어요. 수업이 열리면 수업 제목과 교수님이 실제로 강의하는 내용은 전혀 달라요. 첫 수업에서 ‘내가 강의실을 잘못 찾아왔나’라고 생각할 ... ...
- 실험과 체험 중심의 독일 수학박물관 마테마티쿰을 가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프로그램 속 수학의 원리를 찾을 수 있게 하자는 것이 마테마티쿰의 운영 철학입니다.이곳에서 수학을 ‘몸으로 체험하는 경험’과 ‘발견하는 경험’을 하면서 수학을 재미있게 접할 수 있습니다. 수학에 공포감을 느끼고 있는 학생이라도 친근한 수학의 모습을 보고 쉽게 다가갑니다.한국의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체의 세로·가로 비율은 76.67÷53.14≒1.44로 황금비율과 거리가 멉니다. 이제 그림의 다른 곳에서 황금비를 찾아야 합니다.그런데 대체 어디에 황금직사각형을 그려야하는 걸까요? 황금비에 대한 기록이 없으니 당연히 이에 대한 지침도 없겠죠. 모나리자가 황금비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제멋대로 ...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는 모든 발성을 컴퓨터 모델링으로 시뮬레이션했다.그 결과 개코원숭이는 후두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데도 불구하고 사람이 내는 ‘아’, ‘애’, ‘이’, ‘오’, ‘우’ 같은 다섯 가지 발성을 할 수 있었다. 심지어두 가지 모음을 연결해 ‘와후’ 같은 소리를 내기도했다. 이는 언어의 기원에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