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앞섰어요. 하지만 로봇의 양 팔 앞쪽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있어 가까운 곳에 장애물이 있으면 자동으로 멈춰 섰지요.브이존 범퍼카도 인기였어요. 범퍼카에는 레이저 장치가 달려 있어요. 범퍼카를 운전하다가 다른 범퍼카에서 쏜 레이저에 맞으면 차의 뒷면에 맞은 횟수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재료를 덮는 커버글라스, 집게 등 다양한 실험도구는 물론 램프까지 들어 있어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관찰이 가능하지요.주변의 모든 것들을 채집하고 관찰해서 나만의 관찰 일지를 작성해 보세요!한편 스미스소니언 망원경은 멀리 있는 물체를 30배율까지 확대해 볼 수 있어요. 달 표면뿐만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닌 척 하고 나왔지만, 한 번 아버지에게 그 생각을 듣자, 그 생각은 머릿속 깊은 곳까지 바로 파고 들어 왔다. 그녀에게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절 당해도 괜찮다. 등굣길 내내 그 생각을 떨치기 어려웠다. 그 생각조차 달콤하게 들렸다. 아무것도 구체적으로 계획한 것이 아닌데도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진행된 연구가 있다며?기존 연구들을 통해 개코원숭이의 ●후두가 인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어요. 얼마 전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연구팀은 개코원숭이 중 하나인 ‘기니개코원숭이’를 분석했어요. 기니개코원숭이는 꼬리 길이를 포함한 몸길이가 100cm 내외로,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우리나라 독점 해저 광구우리나라가 독점으로 탐사할 수 있는 공식적인 해저 광구는 총 5곳이다.● EEZ : 바다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국경선이 있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국가는 해안선에서 약 370km 범위의 바다를 갖게 된다. 만약 이 구역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광물 자원을 채집하기 위해선 구역을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소속된 연구소가 120개가 넘습니다. 물토양보존연구소는 사실 그중 하나입니다. 제가 이곳을 선택한 이유는 중국 정부가 농업과 임업 연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적극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장쩌민, 후진타오, 원자바오, 주룽지 등 국가 지도자들이 앞다퉈 방문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천 명의 학생이 마구잡이로 뛰어 놀다가, 어떤 신호를 받는 순간 갑자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친구와 팔을 걸고 빙글빙글 돌기 시작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또 다른 친구가 가까이 오면 이번엔 그 친구와 팔을 걸고 빙글빙글 돈다. 운동장에 있는 수천 명의 학생들이 일제히, 동일한 규칙에 맞춰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 아스피린도 먹었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재 화석으로만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최근 호주 과학자들이 네안데르탈인이 사는 곳에 따라 식단이 달랐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3월 9일자에 발표했다.호주 애들레이드대 고대DNA센터의 앨런 쿠퍼 교수와 로라 위릭 박사팀은 네인데르탈인 치아 화석에 남아 있는 치석을 관찰했다. 치석은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진행한 삼손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조명과 TV, 스마트폰이 없는 곳에서 사는 사람들은 오랫동안 푹 잘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렇지 않아서 무척 놀랐다”면서 “만데나 사람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소음”이라고 밝혔다. 집이 대나무나 양철, 초가로 만들어져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많은 규소가 만난 것이기 때문에 생성 환경에 따라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땅속 깊숙한 곳에서 마그마나 열수용액이 천천히 냉각되면서 질서 있게 원자가 배열되면 수정과 자수정, 황수정, 연수정 등이 만들어진다. 지표면에서 비교적 가까운 화강암이나 퇴적암의 빈 공간에 열수용액이 흐르면서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