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이는 어르신들이 옹기종이 모여 앉아 화투 놀이를 하고 있었다. 기자의 방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놀이에 열중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보니 왜 섭외가 어려웠는지 알 것 같았다. 촬영보다 더 재미있는 게 많은 걸. 결국 강 주무관이 긴 설득 끝에 85세 이종수 할아버지를 섭외해 총 네 명의 촬영이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상이고, 85세 이상인 사람의 비율이 7% 이상인 곳으로 선정했다. 도시는 서울과 춘천, 두 곳이다.이들의 뱃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은 천차만별이었다. 장수촌의 주민들에서는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프레보텔라(Prevotella), 라크노스피라(Lachnospira)와 같이 유익한 미생물이 많이 살고 있었다.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증가했기 때문이에요. 1995년에 1000만 명 이상이 사는 ‘메가시티’는 전세계에 14곳이었어요. 그러나 2015년에는 29개로 두 배나 증가했죠. 500~10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도 22개에서 44개로 늘어났어요. UN에서는 이런 흐름이라면 ‘2030년에는 전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도시에 살게 될 것’이라고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암석층만큼 철저히 탐사해야 한다”며 “게다가 우리가 화석기록을 알지 못하는 곳은 전 세계에 수두룩하게 널려있다”고 덧붙였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재미있는 공룡족보’ (2000.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001N03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유명한 관광지 오키나와 섬 인근에는 아마미오라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1995년 이곳에서 다이빙을 즐기던 한 다이버가 모래바닥 위에 그려진 이상한 형상을 발견했는데, 도저히 우연히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기하학적인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크기도 무려 2m에 달할 정도로 컸죠.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공간이랍니다. 1000여 개의 상점뿐만 아니라 호텔, 영화관, 박물관, 공연장 등이 있어 이곳에서만도 일상생활이 가능하죠.겨울에는 350만 명의 몬트리올 인구 중 매일 50만 명이 이용할 정도로 이미 도시의 중심이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당길 때, 이 두 중력이 균형을 이뤄 중력의 합이 결국 0이 되는 지점이랍니다. 그래서 이곳에 있는 물체는 어느 쪽으로도 당겨지지 않고 고정돼 있어요.★특명 2 지구와 똑같은 중력을 만들어라!사람에게 중력은 아주 중요해요. 오랫동안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면 뼈와 근육이 약해지고, 면역력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건 잘못이었을지 몰라. 하지만 결국 너와 너의 자식들이 안전한 우주선 안에서 더 확실한 곳을 찾기 원했던 거야. 아아, 네가 태어나기를 얼마나 기다렸는데. 결국 네가 태어나는 것도 볼 수 없었지. 네가 태어나면 들려주겠다며 이야기를 만들던 기억도 나는구나.‘게으른 개를 뛰어넘은 재빠른 갈색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 5년 이상 된 건물 옥상으로 가서 구석에 모여 있는 먼지를 모은다. 공기가 깨끗한 곳일수록 오염물질이 적어 우주먼지를 찾기 쉽다. 먼지가 젖어 있는 경우에는 수집이 어려우므로 잘 마른 먼지들로 모은다. 2장 혹은 3장의 지퍼백을 뒤집고 그 안에 자석을 넣어 장벽을 만든다. 지퍼백을 여러 장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는 모자를 모두 터치하면 우리가 이깁니다. 해적은 빛이 퍼지는 방향을 제어해 한 곳으로 모은 3 차원 홀로그램입니다. 예전에는 빛을 제어하기가 어려 워 3차원으로 띄우는 게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KAIST 물리학과에서 간유리를 이용해 빛을 산 란시킨 다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한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