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유명한 관광지 오키나와 섬 인근에는 아마미오라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1995년 이곳에서 다이빙을 즐기던 한 다이버가 모래바닥 위에 그려진 이상한 형상을 발견했는데, 도저히 우연히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기하학적인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크기도 무려 2m에 달할 정도로 컸죠. ... ...
- Intro. 값비싼 광물이 가득~ 해저 광산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광물 사냥꾼! 비싼 광물이 있는 곳이라면 지구어디든 달려가지! 그런데 날이 갈수록 광물 사냥이어려워지고 있어. 땅에 묻혀 있는 광물을 거의 다 캐버려서 쓸 수 있는 양이 얼마 남지 않았거든.그러던 어느 날, 희소식이 들려왔어. 바다 아래에서 광물이 많이 묻혀 있는 지역이 발견됐다는 거야.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하기 때문에 무척 긴장됐다”고 말했답니다.#아직 우리가 탐사할 수 있는 광구가 4곳이나 남았어! 앞으로 나는 이 연구팀을 쫓아서 전세계 바다에 있는 해저광구를 모두 탐사해 볼 거야! 그 소식을 생생하게 전해 줄 테니 친구들 조금만 기다려 줘~.박사님~, 같이 가요~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 아스피린도 먹었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재 화석으로만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최근 호주 과학자들이 네안데르탈인이 사는 곳에 따라 식단이 달랐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3월 9일자에 발표했다.호주 애들레이드대 고대DNA센터의 앨런 쿠퍼 교수와 로라 위릭 박사팀은 네인데르탈인 치아 화석에 남아 있는 치석을 관찰했다. 치석은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최초로 현대식 로켓을 만들었다. 6만 번이 넘는 시행착오 끝에 1926년 3월, 52m 정도 떨어진 곳까지 로켓을 날리는 데 성공했다. 비행시간은 2.5초였다. 고다드 이후 16년 만에 200km를 날아가는 로켓이 개발됐고, 이후 1957년 구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리며, 본격적인 우주탐사의 시대가 개막됐다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많은 규소가 만난 것이기 때문에 생성 환경에 따라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땅속 깊숙한 곳에서 마그마나 열수용액이 천천히 냉각되면서 질서 있게 원자가 배열되면 수정과 자수정, 황수정, 연수정 등이 만들어진다. 지표면에서 비교적 가까운 화강암이나 퇴적암의 빈 공간에 열수용액이 흐르면서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결이 생겨서 굵어졌다가도 어느새 사라져버리고 만다. 새로운 곳으로 이사하면 그곳의 지리, 사람 등 온갖 정보를 다시 저장해야 하므로 이전의 정보는 그 중요도에 따라 더 진해지기도 하지만 금세 옅어져 버리기도 한다.내비게이션 세포의 상호작용도 마찬가지다. 신경망의 작용으로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남아메리카에 있는 섬으로, 초록원숭이의 천적이 살지 않는다.연구팀은 실험장소 두 곳을 선정해 미리 무선스피커를 잘 숨겨 뒀다. 원숭이들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본토에서 녹음해 온 표범 경고 신호 두 가지와 뱀 경고신호 두 가지를 들려줬다. 결과는 흥미로웠다. 무려 350년 동안이나 이런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2차원, 3차원 양자물질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성과를 낸 국내 연구팀 세 곳을 찾았다.4진법 컴퓨터의 열쇠로 떠오른 원자선“그냥 눈으로 봤을 때는 특별할 게 없어요. 실험장치에 넣고 진공과 온도 조건을 조절한 다음 원자를 볼 수 있는 주사터널링현미경(STM)으로 찍으면 그때 ... ...
- [교과연계수업] 겨울철 초미세먼지, 비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붙잡고 있는 고기압!우리나라에 머물고 있는 겨울철 고기압이 날아온 미세먼지들을 다른 곳으로 보내지 않고 꼭 붙잡고 있답니다. 겨울철 고기압은 한 번 찾아오면 4~10일 정도 머무르는데, 최근 그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만큼 겨울 스모그도 더 자주 발생한다고 해요. 1. 대상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