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되면 면역력 높이는 햄스터
과학동아
l
200204
두그룹으로 나눠 한그룹은 여름처럼 15시간 정도를, 다른 그룹은 겨울처럼 9시간 정도
빛
을 비췄다. 그리고 10주 후에 혈액 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의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겨울처럼 일조량이 긴 그룹의 햄스터는 여름 조건의 햄스터보다 훨씬 많은 면역세포를 갖고 있었다.빌보 박사와 함께 연구한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04
한다.센서가 상품진열대와 가장 가까운 곳(상품의 코드명 부착부위)을 지날 때만 내보낸
빛
이 다시 센서로 돌아오게 돼 있다. 이때의 2차원 위치 정보 x, y값을 얻는 것이다. 이 값은 자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래서 고객이 상품코드를 선택하면, 곧바로 로봇이 이미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라 ... ...
마를린 먼로의
빛
바랜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204
방법으로 이 푸른
빛
을 제거하려고 노력해 왔다.디지털 복원 비용 편당 13억원쿠란은 파란
빛
을 원래의 필름을 통해 새 흑백필름에 쏘였다. 그러면 원래 파란색을 띠었던 흐릿하게 바래진 부분은 더 어두워지거나 검어진다. 그런 후 흑백필름과 원래 필름을 함께 겹쳐서 새로운 영화필름을 만든다.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04
점상 촬영)는 촬영 시간의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주어진 노출시간에 가능한한 많은 별
빛
을 받아들이기 위해 조리개를 많이 여는 것이 좋다. 즉 f/1.4 렌즈면 1.4에, f/1.8 렌즈면 1.8에 맞춘다. 다만 조리개를 개방했을 경우 수차가 심해져 주변부에서 별의 상이 찌그러지는 단점이 있다. 셔터 스피드는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04
음파발광은 초음파를 용액에 쏘면 미세한 기포가 생겨나 점점 더 자라다가 결국
빛
을 내며 터지는 현상. 이번 논문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UCLA의 푸터맨 교수 역시 “워낙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라 이제까지 기포의 온도가 어느 정도일지 알 수 없었지만 온도가 태양에 맞먹지 않을까 추정했다”고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04
접시를 포물선 모양으로 만들면 포물선의 초점 위치에서
빛
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빛
을 많이 모으려면 접시의 크기가 커지면 된다.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사각형이나 원형의 안테나를 만들기는 쉽다. 하지만 포물면의 경우 그 모양을 정확하게 깎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돈이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04
이유는 인체나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X선 등의 방사선은 광자(
빛
의 입자, photon)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이 생체를 통과할 때 세포 속의 원자와 분자를 ‘흥분’시킨다.즉 세포를 이루고 있는 분자나 원자의 최외각 전자궤도에 존재하는 불안정한 전자를 자극해 궤도에서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03
뭉쳐져 별이 태어난다. 반면 탄소, 규소 등으로 이뤄진 미세한 입자인 먼지는 뒤쪽의 별
빛
(가시광선)을 가리기 때문에 성운 전체가 검게 보인다. 물론 성운 속에 자라고 있을지 모르는 별도 베일 속에 감춘다. 검은 독수리가 품고 있는‘생명’의 모습이 궁금해진다.1995년 허블우주망원경이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03
있다는 점이 이채롭다.점차 시간이 지나면 토성이 달 가장자리에 붙고 어느 순간 한줄기
빛
을 남기고 달 뒤편으로 사라진다. 토성식이 시작되는 때는 토성이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이 순간을 놓치지 않는다면 밝은 별이 갑자기 사라지는 장면을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03
생각하면 참으로 놀랍다. 보릿고개와 같이 영양 실조에 허덕이던 지난 시절은 이제
빛
바랜 옛날 이야기가 돼버린 듯하다.그러나 이렇게 화려한 변화의 이면은 어떨까. 최근 우리 사회의 일부 사람들에게서는 심각한 영양 부족이 발견되고 있으며, 한편에선 영양 과잉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