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03
거리의 모습은 우주배경복사다. 물질과
빛
이 뒤엉킨 시기 이후 물질로부터 처음 분리된
빛
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당시 3천K이던 우주배경복사는 현재 2.73K로 관측된다.4. 숨은 우주와 충돌로 탄생했을까물 위에 떠있는 이파리 같은 우리우주끈이론이 10차원(공간 9차원+시간 1차원)에서 기술된다면,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03
지구의 평균색을 이용하면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를 찾을 수 있다는 프랑스 파리천문대의 장 슈나이더 박사팀의 연구가 1월 29일 인터넷 ‘네이처’ 사이언스 업 ... 예정인 다윈 우주망원경은 태양 같은 모성(母星)으로부터 받아 행성에서 반사되는
빛
을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감도가 높다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03
유입되면
빛
을 발생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미생물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미생물의
빛
을 감지해 독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미래 ET산업의 핵심다양한 물 재이용기술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원하는 수질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해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03
온도가 높은 곳에서 잘 일어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을 찍을 때도 물 밑에서
빛
을 비추거나 역광을 비춰 물 속에서 퍼지는 잉크가 선명하게 나오도록 했다.공중에 뜬 주사위는 허상주사위가 2개 있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주사위 하나는 공중에 떠있다. 주사위에 날개가 달렸나. 아니면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03
우리의 문화재를 가상현실 공간 안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복원 분야도
빛
을 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가상현실 기술은 문화, 예술 등 더욱 다양한 영역에 발을 뻗을 것으로 예상된다.체험적 인터페이스에 집중 연구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의 가상현실 연구실에서는 주로 현실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03
가뭄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더욱
빛
을 발하는 이유다.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의 기상청에는 초당 1천2백80억번의 단위연산을 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가 설치돼 있다.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03
빅뱅이 일어난지 30만년 후
빛
과 물질이 분리되는데, 이때 최초로 물질을 빠져나온
빛
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당시 3천K(절대온도 K= 섭씨온도 ℃+273.15)였던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팽창하면서 식었기 때문에 현재 약 3K여야 한다.우주배경복사는 이 문제에 관심도 없었던 공학자들이 최초로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03
보는 밤하늘의 한쪽 끝과 그 정반대편은 3백억광년 떨어진 것이다. 그런데 가장 빠른
빛
조차 1백50억년 동안 3백억광년을 움직일 수 없는 일이다. 이들은 어떤 수단으로도 내통할 수 없다. 하지만 왜 밤하늘에서는 정반대편의 모습이 서로 똑같아 보일까.또 하나는 평탄성 문제다. 현재 우주는 매우 ... ...
절개수술 없이 신장결석 제거
과학동아
l
200203
여기에서 두점을 초점이라고 한다. 만약 두 초점을 F, F'라고 한다면, 초점 F'에서 나간
빛
은 타원에 부딪혀 반사돼 또다른 초점 F를 지나게 된다. 마찰이 없다면 이 과정을 끝없이 되풀이할 수 있다. 바로 이 원리가 체외 충격파 쇄석기에 이용된 것이다.체외 충격파 쇄석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생겼다.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02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 원자는 1초에 2cm 움직인다. 상온에서 기체는
빛
속도의 1천분의 1 정도로 아주 빠른 속도인 것과 대조된다.1997년 레이저 냉각법을 개발한 공로로 벨연구소의 스티븐 추, 미국 표준연구소의 윌리엄 필립스, 그리고 프랑스 파리대학의 클로드 코엔-타누지는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