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뇌종양으로 전이되는 새로운 경로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십킨스 교수팀이 연구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은 혈액 및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일반적인 암과 달리 중추신경계로 쉽게 전이가 일어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 ...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센서는 지문뿐만 아니라 온도, 압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정전식 지문 센서’다.그간 정전식 센서는 정확도가 높고 얇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지만, 투명전극의 전도도가 낮아 수 볼트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투명하면서 전기전도도도 높은 전극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5월 21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2015년) CCTV에서 몽타주로 범인 찾기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은 헌트가 이륙하는 비행기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리며 펼치는 극적인 액션으로 화제를 모았다. ... ...
- Part 4. 블랙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적은 양의 빛이 나올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호킹박사는 영국의 물리학자 ‘폴 디랙’이 발표한 ‘모든 입자는 ●반입자를 가질 수 있다’라는 이론에서 영감을 얻었어요. 우주에서 입자와 반입자는 쌍으로 존재하며, 매순간 생겼다가 없어진다는 이론이지요. ●반입자 : 쌍을 이루는 입자와 모든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달라는 의뢰를 받고, 동물 실험을 통해 수학 모형을 만들어 1908년 최초의 감압표를 발표했다. 이 표는 1955년까지 영국 해군에서 쓰였을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홀데인의 이론은 오늘날의 잠수표의 기초가 됐을 뿐만 아니라, 수심과 잠수시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수학적 알고리듬으로 ... ...
- [과학뉴스] 영구동토 속 미생물, 지구온난화 주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군집의 물질대사 경로를 규명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웨덴 북부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200여 개의 시료 속에 있는 미생물 유전자 1500여 개를 분리한 뒤,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영구동토 속 ... ...
- [과학뉴스] 2만km 여행한 남극산 다시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않았다는 최초의 증거를 찾아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남인도양 케르겔렌 제도와 남대서양 사우스조지아섬에서 발견한 다시마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남극해에서 서식하는 종이며 2만km 이상 표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남극 생태계는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대장균과 장구균을 검출했다고 ‘응용 및 환경 미생물학’ 2012년 1월 1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128/AEM.06185-11대장균과 장구균은 인체의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일반적으로는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O-157 등 일부 돌연변이 세균이 복통과 설사, 구토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또한 ... ...
- [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전투 중 지뢰를 밟아 무릎 아래와 성기 주위조직을 잃은 젊은 군인이었다. 2016년 발표된 보고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미국 남성들의 비뇨생식기 부상 역학조사’에 따르면 2001~2013년 미국 군인 남성 중 1367명이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 성기 주위에 부상을 입었다. 부상당한 남성의 9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이 정제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카본(Carbon)’ 2월호에 발표했다.doi:10.1016/j.carbon.2017.02.040나노 다이아몬드가 합성된 직후에는 내부에 다량의 불순물이 포함돼 있어 이를 그대로 사용하면 나노 다이아몬드가 가진 장점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렵다. 기존에는 불순물을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