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소재들을 합성하는 실험을 해 보자고 제안해 직접 예비실험을 준비하고 이와 관련한 발표도 준비했습니다. 또 동아리에서 수행한 실험을 다듬어 주변의 지역아동센터나 지역 박물관, 인근 중학교, 지역사회 축제 등에서 체험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A와 B 두 학생에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A에 비해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받은 뒤부터 본격적으로 연구에 매진했고, 우주과학 분야에 굵직한 연구들을 연이어 발표했어요. 그 중에서도 호킹 박사는 1966년, ‘빅뱅 이론’을 증명한 졸업 논문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어요. 당시 ‘우주는 늘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하지 않는다’는 ‘정상 우주론’이 우세했는데, 호킹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처음 발표됐지요. 이때 조만간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겠다는 확신에 외계행성 연구에 뛰어들었어요. Q. 트라피스트-1의 행성들은 어떻게 발견했나요? 지구에서 39광년 떨어진 트라피스트-1은 1999년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없다는 것을 해당 수학 이론만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괴델의 제2 불완전성 정리까지 발표한다. 어떤 수학 체계로든 자체로는 완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순이 없음을 절대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괴델의 공격 이후 한동안 수학자들에게 이 사건은 충격 그 자체였다. 더 이상 수학을 하지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속 가능한 화학 및 공학(sustainable chemistry and engineering)’ 2017년 4월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suschemeng.7b00745연구팀은 식물에서 자일로스(xylose) 등 5탄당을 추출한 뒤 탈수소 반응을 이용해 고리화합물인 ‘퍼퓨랄’을 만들었다. 여기에 물을 가한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에너지 소스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힉스장이 할 수 있다는 ‘힉스 인플레이션’ 이론을 발표했다. 힉스 입자의 성질을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힉스 입자가 초기 우주에 어떤 역할을 했을지 예측한 결과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4년 6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103/PhysRevLett.112.24130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실험으로 구현한 뒤, 그 과정과 결과로 승부를 겨룬다. 본선에서는 팀별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의 연구 결과를 검증하는 등 열띤 토론도 펼쳐질 예정이다. 기후변화 분야에 출전한 ‘부띨’ 팀의 김동원 군(부산과학고 1학년)은 “매서운 질문들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2015년 아보가드로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처음에 실리콘의 동위원소 농축작업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는 점이다.러시아는 핵폭탄의 주원료인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지만 지난 3월 NASA는 연료가 고갈돼 케플러가 머지않아 수명을 다 할 것이라고 발표했답니다. 차세대 외계행성 사냥꾼, TESS 우주망원경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새로운 우주망원경도 준비 중이에요. 바로 올해 4월 16일 이후 발사 예정인 ‘테스(TESS)’지요. 현재 케네디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답을 발표했습니다. 아직 학술지에 실린 건 아니지만 이쪽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에서 발표한 겁니다. 배상원 경기대학교 교수와 오트프리트 정(정지원) KAIST 교수, 정 교수의 석사과정생인 최윤성 학생, 삼성디스플레이 소속 윤상덕 박사, 세르기오 차벨로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 교수, 파비안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