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가정에 의하면 어떤 단위, 예를 들면 기관 세포 또는
분자
라도 어떤 최적의 환경에서 성장과 자기복제를 할 수 있거나 직접 단백질 합성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다.호박에 관한 것 중 필자가 즐기는 이야기는 아직 DNA에 관한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지는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전류를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기에 가해지는 전압이 1m당 50만V 이상이 되면 공기
분자
가 해리돼 전자와 이온이 된다. 전기는 전자의 흐름이므로 이 순간에 전기가 흘러(전자가 이동) 방전로가 빛을 내게 된다. 그 방전로의 길이는 평균 5㎞가 되며 긴 것은 15㎞에서 20㎞에 걸치는 것도 적지 않다 ... ...
생물에도 '왼손·오른손잡이'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알고 있었다. 생체기관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왼쪽 혹은 오른쪽의 선호성을 갖는
분자
쌍으로, 각 쌍은 서로에 대해 거울에 반사되는 것처럼 대응하고 있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어떤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유기체는 왼쪽 방향을 선호하는 아미노산만을 만들어 사용한다 ... ...
물리-
분자
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태양과 지구 사이는 아무 것도 없는 진공인데도 태양에서 지구로 열이 전달되는데 이는
분자
의 운동이 아닌, 빛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이다. 진공 중에도 전달되는 이러한 열을 '복사열'이라고 한다. 보온병의 내부는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그것은 복사에 의한 열의 방출을 ... ...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축적이 노화를 초래한다는 새 가설을 발표한 바 있다.그뒤 일본 도가이대(東海大) 의학부
분자
생물학교실이 실험을 통해 활성산소가 노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실증했다.활성산소가 스포츠를 할 때 늘어나는 이유는 호흡량이 증가하기 때문. 사람의 호흡이 두 배로 늘면 활성산소량도 두 배가 된다.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물질마다 고유한 양(量), 즉 질량을 숫자로 표시한다. 물질의 기본 단위인 원자와
분자
는 질량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진정한 의미의 화학은 물질 세계를 수치화하려는 노력으로부터 출발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물질을 수치화하려는 노력은 주로 18세기 유럽에서 여러 과학자들에 ... ...
친할 만한 곰팡이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갈라져 나올 때와 같은 식으로 분리되어 나왔는지도 모른다.우드홀 해양생물 연구소
분자
진화연구소의 미첼 소긴 박사에 의하면, 유전자 분석 결과 동물과 곰팡이 균은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아마도 그 조상은 내부기관 면에서는 곰팡이 균과 비슷하고 생명주기 면에서는 동물과 유사한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자연생명관이 자리잡고 있다. 6각형 구조는 복잡한 생체고
분자
의 기본이 되는 벤젠의
분자
구조를 모방한 것이다. 자연생명관은 담배인삼공사가 주관한다.자연생명관의 대기공간에 들어서면 생명의 고리를 상징하는 나선구조의 모뉴멘트가 강렬한 인상을 풍긴다. 마치 스프링이 맞물린 것과 같은 이 ... ...
젊은 패기로 기고만장했던 시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얼마 전 캐나다 맨니토바 대학 교수로 있는 김원겸 박사가 사진 한장을 보내왔다. 사진을 받고 나는 한동안 넋을 잃고 들여다보았다. 그것은 지금부터 35년 전인 1958년 봄, 내가 서울대 생물학과 대학원에 입학한 직후 찍은 사진이었다. 그해 4월 나는 지금 동덕여대 총장으로 있는 김종협 박사와 단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인공 제조한 용액이 지나도록 되어 있는 장치다.만일 이 용액이 물이라면 혈액 속의 모든
분자
나 이온을 분별없이 빼내버릴 것이다. 그러나 적당히 내용물을 조합하면 오직 요소만을 천연 신장보다도 효과적으로 혈액에서 빼낼 수 있다.인공 신장은 신장병을 심하게 앓고 있는 환자가 그 병으로부터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