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법1) 11월-12월에 베어낸 닥나무를 삶는다.2) 삶은 닥나무의 껍질을 벗긴다. 겉껍질이 붙은
채
벗긴 것을 흑피 또는 피닥이라 한다.3) 흑피를 철분이 없는 흐르는 냇물에 10여시간 담가 두어 불린 다음, 겉껍질을 칼로 벗겨낸 것을 녹피, 푸른 중간 껍질까지 다 벗겨낸 것을 백피라 한다. 보통 생닥나무 1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웹사이트다. 첫 페이지에는 예쁘장하게 생긴 동양 소녀가 커다란 지구본에 턱을 괜
채
미소짓고 있다. 내용 중에 ‘교사를 위한 가이드’에서는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 ‘지구관측임무’ 등 간단한 책자를 pdf파일(아도브사에서 제공하는 Acrobat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야 볼 수 있다)로 제공한다 ... ...
밤하늘의 방랑자 혜성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아이스 반죽을 만든다. 이 반죽이 완전히 얼 때까지 계속 젓는다.4. 손에 장갑을 낀
채
로 쓰레기 봉투와 함께 반죽을 큰 그릇에서 꺼낸다. 그리고 이 반죽을 주물러 공 모양으로 둥글게 만든다.5. 비닐 봉지를 벗기고 이 덩어리 위에 약간의 모래를 흩뿌린다. 그리고 남은 약간의 물도 덩어리에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박사는 구멍으로 온도계를 넣고 위액의 온도를 측정했다(37.8℃). 다음에 위액을 30g 정도
채
취한 후 시험관에 넣고 가열해 같은 온도를 유지시켰다. 남은 과정은 각종 음식을 넣고 위액의 작용을 관찰하는 일뿐이었다.위액이 항상 존재하는지 아니면 음식을 먹었을 때만 분비되는지 알아보는 실험도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하던 아폴로 1호가 화재로 불탔다. 이 과정에서 버질 그리곰, 에드워드 화이트, 로저
채
피 등 3명의 우주비행사가 목숨을 잃었다.하지만 아폴로계획은 당초 목표대로 진행됐다. 3번의 무인로켓 발사와 4번의 유인우주선 시험비행을 거쳐 마침내 1969년 7월 20일(한국시간 7월 21일 오전 5시 17분) 아폴로 1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시속 1백km를 넘는 자동타를 타게 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아마도 1백년이
채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40m높이의 절벽에서 떨어지면 3초도 되지 않아 그 속력에 도달하게 된다. 엄청난 중력 때문이다. 나뭇가지가 하늘을 향해 두팔을 벌리고 뿌리가 땅속 깊이 뻗어가는 것 역시 중력의 영향 때문이다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프레임/초)가 한 예다.그런데 최근에는 컴퓨터가 각 프레임 사이를 자동적으로 부드럽게
채
우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캐릭터가 물건을 들어올릴 때 컴퓨터는 팔꿈치와 어깨 각도를 적절하게 계산해 각 프레임 사이를 ‘알아서’ 메꿔준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95년에 제작된 영화 ‘토이 스토리’. ... ...
X파일에 숨겨진 음모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와중에 갑자기 승무원 세사람은 우주선에서 내리라는 지시를 받고는 영문도 모른
채
비행기에 태워져 모처로 이동한다.이들은 프로젝트의 책임자로부터 발사 직전 우주선의 결함이 발견됐지만 여러가지 부정적 파장을 고려해 그냥 진행시켜야 한다는 설명을 듣는다. 그래서 사막 한가운데 세워진 ... ...
PartⅢ. ②부드럽고 충직한 로봇 비서 보트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든다. 네트란 일사불란한 지휘자의 감독 없이도 무수한 혼돈과 무정부 상태를 끌어 안은
채
훌륭하게 유지되고 있지 않은가! 오히려 혼돈과 무정부주의 그 자체가 네트에게는 무한한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것은 아닌지… .그렇게 보면 바니 보트의 참화는 바니 보트 그 자체의 통제불능의 속성 ... ...
2. 고래가 바다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조상은 몸길이가 3m가
채
되지 않는 곰만한 육식동물이었다. 지금의 고래를 보더라도 뒷다리가 없는 점말고는 육지의 네발동물과 다를 바가 하나도 없다. 고래의 조상은 신생대 팔레오세 말기나 에오세 초기에 나타났다. 그리고 지금의 인도와 파키스탄 지역, 나이지리아와 같은 북아프리카 지역,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